본문 바로가기
교육/2022 개정 통합교과

[암기펜]2022 개정 교육과정 바른 생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by ⓨⓐⓝⓖ 2023. 8. 14.
반응형

 미래 사회와 교육 환경은 기후변화나 기술 발전 등으로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의 표준 교육과정 개념을 넘어서 학생의 삶과 성장을 지원하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은 여기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그래서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서는 슬기로운 생활과나 즐거운 생활과의 통합을 위하여 주제를 개발해 왔다. 이제 국가가 가졌던 주제 개발권을 교육과정 실행 현장인 지역, 학교, 교실 수준으로 이양하고자 한다. 그래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서는 가르치는 일과 배우는 일이 이루어지는 지금 여기에서 학생과 교사가 적절한 주제를 개발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는 정보통신기술, 기후변화, 민주시민 의식 등 다양한 내용을 선정하며 조직하는 이른바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고 개정하였다.

 첫째, 바른 생활과는 슬기로운 생활과와 즐거운 생활과를 통합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학생의 '지금-여기-우리 삶'을 위한 배움을 지향한다. '지금-여기-우리 삶'은 '학생이 지금-여기에서 개인이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역량'이기도 하다. 또 총론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을 종합한 자질이며, 동시에 지금-여기의 삶을 충실하게 살아가는 가운데 불확실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미래 역량에 해당한다.

 우리 삶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무수한 현재가 연속되는 과정이다. '지금'은 우리가 매 순간 실제로 지각하는 시간이며, 미래는 무수한 '지금'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이다. '여기'는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 살아갈 공간이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여기서 주체성과 정체성을 형성하며 살아가는 개인과 공동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바른 생활과는 '지금-여기-우리 삶'의 문제를 성찰하고 실천하는 경험 자체에 중점을 둔다.

 둘째, 바른 생활과는 '지금-여기-우리 삶'을 살아가는 역량을 기반으로 성격, 목표, 성취기준, 내용요소를 개발하였다. 그래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는 학생이 '지금-여기-우리 삶'을 지속적으로 성찰하는 힘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인 상황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삶을 찾아 실천하도록 안내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바른 생활과에서 추구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셋째, 바른 생활과는 슬기로운 생활과 및 즐거운 생활과와 공통으로 네 개의 영역과 여덟 개의 핵심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바른 생활과는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우리는 지금 어떻게 살아갈까', '우리는 무엇을 하며 살아갈까'라는 네 개의 영역탈학문적 질문 형태로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이 살아가면서 지속적으로 탐구할 삶의 맥락과 존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시간과 공간, 정체성과 주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바른 생활과는 성취기준이나 내용요소를 다룰 때 범주나 경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은 고정된 가치나 덕목을 습득하고 내면화하는 덕목 중심의 교육을 지양하고, 네 가지 영역별 질문을 기반으로 나와 공동체 사이의 관계를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교육을 지향한다.

 바른 생활과의 핵심아이디어는 영역으로 제시한 네 개의 탈학문적 질문에 대한 표준적이고 일반적인 대답이면서 성취기준을 해석하는 초점이나 방향이기도 하다. 이는 또한 바른 생활과, 슬기로운 생활과, 즐거운 생활과의 영역별 성취기준을 통합적으로 이수한 학생이 갖추게 될 보편적인 생각이나 사고방식을 의미하기도 한다.

 넷째, 바른 생활과는 열여섯 개의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이들 성취기준에서 다룰 수 있는 내용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바른 생활과의 성취기준과 관련 내용요소는 학생의 실천 경험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기본 요소이다.

 성취기준은 바른 생활과의 특성이 드러나도록 하면서 내용을 포괄적으로 진술하되 그 수를 축소하여 대강화하였다. 아울러 성취기준 사용자인 교사를 위해서 바른 생활과 성취기준을 영역별로 해설하고 성취기준을 적용할 때 고려할 사항도 안내하였다. 이는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운영의 책무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의도이다.

 바른 생활과의 내용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한 것은 학생이 속한 공동체와 더불어 지금-여기-우리 삶의 문제를 성찰하고 실천하는 데 필요한 바른 생활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쉽게 파악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다섯째, 바른 생활과는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여 초등학교 입학 적응 활동, 안전한 생활 습관, 충분한 신체 활동, 누리과정 및 3학년 이후 교과 교육과 연계해서 다룰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교사와 학생은 바른 생활과의 교수·학습에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국가 수준의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에 후속하는 다양한 차원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 내용 및 활동을 주도적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