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철학

교육의 정의 (피터스)

by ⓨⓐⓝⓖ 2021. 9. 2.
반응형

교육의 정의

  • 피터스는 '교육은 미성숙한 아동을 문명된 삶의 형식으로 입문시키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한다.
  • 피터스는 교육은 단순한 활동이 아니라 3가지 준거를 지닌 활동이라고 주장한다.
  • 피터스는 지식의 형식을 가르치는 교육을 중요시하며 순수한 내적가치를 지닌 자유교육을 강조하는 강령적 방식이다.

 

3가지 준거

  • 규범적 준거 : 교육은 가치 있는 일을 전달함으로써 사회에 헌신하는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 인지적 준거 : 교육은 지식의 형식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해와 모종의 생기 있는 안목을 길러주는 것을 표현한다.
  • 과정적 준거 : 피교육자의 의식과 자발성을 전제로 하며, 도덕적인 방법과 교육적 의도성을 지닌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식의 형식

  • 지식의 형식은 자유교과, 인문교과, 기초학문 등으로 불린다.
  • 자유교과, 즉 지식의 형식은 실용적 가치보다는 내적 가치가 강한 지식으로 간주된다.
  • 지식의 형식은 세상을 볼 수 있는 안목과 사고력을 형성한다.
  • 지식의 형식은 각각의 논리적 구조와 안목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 지식의 형식은 선험적 정당성을 지닌다. 선험적 정당성은 칸트의 것을 사용하며, 경험이 증명되기 어렵지만 선천적으로 정당성과 논리성을 지닌다.

 

교육과 훈련의 비교

  • 교육 : 가치지향적 활동이다. 인간의 신념체계를 변화시킨다. 전인적 변화이다. 지적이고 창의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폭넓은 신념체계를 형성한다.
  • 훈련 : 가치중립적 활동이다. 제한된 특수기술을 연마한다. 인간특성 일부의 변화이다. 기계적 학습을 강조한다. 제한된 사고방식을 형성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인교육 & 인성교육  (0) 2021.09.06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0) 2021.09.05
뒤르켐, 사회화  (0) 2021.09.04
자유교육  (0) 2021.09.03
교육의 정의 (정범모)  (0) 2021.09.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