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선택권
1970년 이후 공교육의 부실로 높은 문맹률과 중퇴율로 사회 재교육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교육에 자유경쟁을 도입하여 공교육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학부모와 학생에게 학교선택권을 주고, 학교간의 경쟁을 촉진시켜 교육수월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바우처제도
공립과 사립, 공립과 공립 등 모든 학교를 완전 경쟁으로 몰아넣는 제도이다. 정부가 승인한 학교의 수업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쿠폰 행태(바우처)로 학부모에게 준다. 학교는 바우처를 모아서 정부에게 제출하고 학교 운영비를 받아서 학교를 운영한다. 학부모가 선택하지 않은 학교는 존재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강조한다.
차터스쿨
주정부나 교육청이 일반 공립학교의 운영권을 민간 교육 회사나 교원들에게 일정기간 위탁한다. 일반 공립학교와 달리 규제에서 자유롭고 그에 준하는 책무성이 요구 즉, 계약내용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마그넷 스쿨
특색 있는 테마나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학교의 특색을 고려하여 학부모나 학생이 학교를 자주적으로 선택한다. 교육수요자를 위한 교육의 다양화, 다양한 교수방법, 직업교육, 교육수요자인 학생은 개개인의 관심, 적성, 능력에 따른 학습으로 운영한다.
대안학교
대안교육이란 경직적·획일적인 공교육제도의 학교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들을 지칭한다. 대안학교가 지니는 교육이념은 교육의 다양함을 통해서 개별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대안학교는 인가된 대안학교와 비인가 대안학교로 구분된다. 인가된 대안학교는 특성화 중·고등학교, 각종학교형 대안학교가 있다.
홈스쿨링
홈스쿨링(재가학교, 가정학교)이란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고 부모가 직접 교육자가 되어 가정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 종교지향성 : 기독교 정통성을 믿는 부모들은 자녀로 하여금 신의 법칙에 따라 살고 신에 대해 배우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교육이라고 믿는다.
- 좋은 교육환경 제공 : 다른 부모들은 자녀에게 효과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하여 홈스쿨링을 한다고 말한다.
-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경직적이고 획일적인 교육방법과 부정적인 친구관계, 교사의 부적합한 훈육 등을 비판한다.
- 가정의 자율성 유지 : 제도의 침입과 규제로부터 가정의 자율성을 지키는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있다.
- 학부모의 강한 이데올로기적 가치관 : 홈스쿨링을 하는 많은 부모들은 국가교육 조직의 특성과 양립할 수 없는 정치, 교육 등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다.
- 지리적 문제점 : 학교와 가정이 지리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학생이 학교를 다니기 어려운 경우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