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경
학교가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대응함으로써 자본주의를 재생산한다. 학교는 인지적 기술(지식)보다는 가치관, 태도 형성에 주력한다. 지배계급의 아동에게는 창의성과 독립성을 배양하고, 피지배계급의 아동에게는 순종과 복종을 강요한다.
대응이론
대응원리는 교육체계를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와 경제체계를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대응을 말한다. 학교구조가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대응하여 하부구조를 튼튼하게 만들고, 그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재생산한다.
모형
- 상부구조 : 정치, 문화, 교육, 이념 등
- 하부구조 : 경제구조 [자본가↔교사, 노동자↔학생, 생산활동↔교육활동] 학교구조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0) | 2021.06.20 |
---|---|
브로디, 문화재생산이론 (0) | 2021.06.20 |
김신일 교육평등관 (0) | 2021.06.17 |
자본주의 국가론 (0) | 2021.06.17 |
콜맨의 교육평등관 (0) | 2021.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