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사회학

학력상승이론(학교팽창이론)

by ⓨⓐⓝⓖ 2021. 6. 15.
반응형

학력상승이론

 학력상승이론은 사회의 평균 학력이 상승하는 것이고, 과잉학력은 학력의 수요에 비하여 학력의 공급이 초과하는 현상이다. 기술기능이론은 학력상승을 설명할 수 있지만 과잉학력을 설명할 수 없다. 지위경쟁이론은 학력 상승도 설명할 수 있고, 과잉학력도 설명할 수 있다.

 

학습욕구이론

 인간이 지니고 있는 높은 수준의 욕구인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학력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기술기능이론

 산업사회의 전문화, 고도화가 학력상승을 유발한다는 이론이다. 학교는 높은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작업에 적합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여 사회에 제공한다. 그래서 사회는 발전하며, 학교는 팽창한다. 클락의 '전문가 사회의 교육'에서 산업사회의 고도화와 학력상승을 연계하고 있다.

 

지위경쟁이론

 사회적 지위 경쟁에서 높은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학력 상승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학력 인플레이션을 설명할 수 있다. 도어는 이런 지위경쟁이론이 적용되는 자본주의 사회를 졸업장병에 미친 사회라고 비판한다. 도어, 베버, 콜린스 등이 주장한다.

 

마르크스이론

 자본주의 경제구조와 학교 구조가 대응함으로써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확대에 따라서 학교 교육도 확대된다는 것이다. 보울즈와 킨티스가 미국의 학교 교육 확대 현상을 국민들이나 교육 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본가들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국민통합론

 국가가 국민들의 정치적 이념적 통합을 추구하기 위해서 교육을 규제하고 장려함으로써 학력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벤딕스나 라미제즈 등에 의해 주장된 것으로 대학교 등과 같은 고등 학력 상승을 설명하기 어렵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 국가론  (0) 2021.06.17
콜맨의 교육평등관  (0) 2021.06.16
두 종류의 마르크시즘  (0) 2021.06.15
교육과 노동시장 분류  (0) 2021.06.13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0) 2021.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