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노동시장 & 분단노동시장
단일노동시장이론 | 분단노동시장이론 |
· 기능론 · 인간지본론, 보상원리 |
· 갈등론 · 선발가설이론, 급진론, 이중노동시장이론, 내부노동시장이론, 비경쟁집단이론 |
보상원리(아담스미스)
특징 직종이 타 직종에 비하여 어떤 측면에서 불이익이 발생하게 되면, 다른 측면에서는 높은 이익이 보상되는 보상원리가 작용한다. 경쟁을 제한하는 정부의 정책만 없으면 노동자들의 순수익(이익-불이익의 차익)의 불평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인적 자본론(인간자본론)
인적 자본론은 교육투자로 지식과 기술의 형태로 인적 자본이 형성되면, 노동현장에서 한계 노동 생산력(능력)이 향상되고 그 결과 노동 소득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노동 한계생산성=노동자의 생산성=노동자의 지식, 기술=인간자본) 능력에 따른 노동 소득이 향상되고, 능력에 따른 사회적 평등이 실현된다. 개인의 소득이 모여 국가의 소득이 되므로 국가의 경제 발전을 가져온다.
선발가설이론
학력은 생산성에 별로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으며 교육은 단지 우연적 선발의 장치(신호)역할을 하게 된다. 선발가설에서는 교육은 생산성이 아닌 보다 높은 졸업장이 선발을 유리하게 만들고 높은 소득을 가져온다고 본다.
이중 노동시장이론
이론가들은 노동시장이 1차 시장과 2차 시장으로 나뉘어 있다고 주장했다. 1차 부문은 상대적으로 높은 보수와 수당, 좋은 작업 환경과 연수, 연공제 승진 기회, 인위적 해고로부터의 보호를 특징으로 한다. 2차 부문은 대조적으로 저임금, 저수당, 저훈련, 승진기회 부족, 열악한 작업 환경, 잦은 해고 등을 특징으로 한다.
급진파 이론
인적 자본이나, 졸업장 등은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적다. 소득 불평등의 주된 요인은 사회계급이다.
내부 노동시장이론
노동시장은 2개로 구분되어 있다. 내부노동시장은 비경쟁적이고 규모가 크며 외부 노동시장은 경쟁적이자만 규모는 작다.
비경쟁집단이론
노동시장은 비경쟁적인 여러 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력상승이론(학교팽창이론) (0) | 2021.06.15 |
---|---|
두 종류의 마르크시즘 (0) | 2021.06.15 |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0) | 2021.06.12 |
고등학교 평준화 (0) | 2021.06.11 |
발전교육론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