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리학
- 태극설, 이기설 및 심성론은 결국 일치된다고 보고 천인합일 사상이 형성된다.
- 외적으로 학문을 통하여 우주이치에 도달하고 내적으로 인간의 본성을 잘 가꾼 인간상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 성인을 내외가 겸비된 인간으로 보았다.
조선 성리학 도입과 교육적 영향
배경
교려말 안향의 성리학 도입으로 인해 사회적 변화와 교육적 변화가 나타난다.
교육적 인간상
- 성인이다. 성인이란 내적으로 본성이 잘 갖추어지고, 외적으로 우주의 이치를 깨달은 인간이다.
- 일상생활에서 도덕적 각성과 도덕심을 발휘하는 것이 거경이고, 사물에 대한 이치를 탐구해 가는 것이 궁리이다. 거경과 궁리를 통해서 성인이 된다.
변화
- 위인지학보다 위기지학을 강조한다.
- 문장화국지사보다 경명행수지사를 중요시한다.
- 진사보다 생원을 중요시한다.
- 강제시비(대과의 복시 초장에 강경채택 주장)가 대두되었다.
- 5경 중심(시, 서, 역경, 예기, 춘추)에서 4서 중심의 경학체제(대학, 논어, 맹자, 중용)로 이동하였다.
- 향교에서 서원으로 이동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