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한국교육사

정약용, 실학교육

by ⓨⓐⓝⓖ 2021. 6. 12.
반응형

교육적 인간상

 수기위천하인으로 자기 자신을 수양한 다음, 사회를 위하여 봉사하는 실용인이다. (=실용인, 사회적 자아실현)

 

교육내용

  • 오학론 : 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 등을 반대한다. 다섯 가지 학문은 진정한 실용인 삶에 방해가 된다.
  • 삼부가독설 : 천자문, 사략, 통감절요(전통적인 유학교육에서 사용)를 읽어서는 안 된다. 세 가지는 중국의 모화 사상이 담겨있어 올바른 학습서가 되지 못한다. 또, 천자문을 대신할 천자문의 아학편을 편찬하였다.
  • 효·제·자 : 효제자를 주장한다. 명명덕, 신민, 지어지선 등 대학의 3강령은 효제자이다. 효는 부모와 임금을 섬기는 것이고, 제는 어른을 섬기는 것이고, 자는 대중을 부리는 것이다.
  • 국학 : 우리나라의 학문과 역사를 사랑하고 공부해야 함을 강조한다.
  • 기예론(기술) : 인간과 동물의 차이는 기예이므로, 개인 각자가 하나의 기예를 지녀야 한다.

 

현대적 의의

  • 사회 구조를 개편하고자 하였다.
  • 교육제도 확립, 사회윤리를 쇄신하였다.
  • 과거제도의 모순점 개선, 당면한 현실의 문제를 교육과 학문과의 관련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 평등사상에 기초한 근대적인 민권의식을 토대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자아의식을 심어주었다.
  • 민족주체사상, 평등사상, 민권의식, 진취성, 개방성, 과학기술의 정신 강조, 사회윤리관 등을 현대 교육에까지 정신이 계승되었다.
반응형

'교육 > 한국교육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입국조서 & 한성사범학교  (0) 2021.06.13
우리나라의 최초의 근대학교  (0) 2021.06.12
실학  (0) 2021.06.12
이황 & 이이  (0) 2021.06.12
조선, 서당  (0) 2021.06.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