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의 연하
배가 자주 그득해지면서 이 증상이 생겼다 사라졌다 하는 경우는 대부분 공기를 삼켰거나 장에 가스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공기를 삼킨 사람들은 대부분 이 사실을 부인한다. 이들은 마치 물처럼 많은 양의 공기를 삼켜 위장이 부풀고 팽만감이 생긴다.
위나 장의 기능성 장애
신경성 위장, 경련성 장 그리고 과민성 장과 같은 위와 장의 기능성 장애는 많은 양의 가스가 장관 내에 생성되어 복벽이 파도처럼 오르내린다. 음식의 변화나 진경제가 도움이 된다.
담낭 질환
식후 팽창감이 기질적 질환임을 반영하는 하나의 장애가 있는데, 바로 담낭의 문제다. 건강한 담낭은 충분한 담즙을 뿜어내 지방질 음식을 소화시키지만, 담낭에 질병이 있다면 소화되지 않은 지방이 그냥 장 내에 주저않아 그득함과 가스가 찬 기분을 자아낸다.
기억할 점은 공기가 배를 부풀린다면 팽만감은 생겼다 없어진다. 반면, 허리둘레가 늘어나서 줄어들지 않을 때는 단순한 체중 증가 때문이거나 복강 내 축적된 체액 때문이다. 배에 찬 체액은 공기와는 다른 모양새를 갖춘다. 배에 체액이 가득 차면 물이 중력 때문에 몰려 내려가듯이 옆구리는 체액으로 부풀게 된다. 반면, 공기는 고루 흩어져 있으므로 옆구리가 부풀지 않는다. 체액이 복부에 축적된다고 해서 반드시 체중이 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체액을 축적시키는 상황은 심각한 질병과 관련되어 있거나 영양이 결핍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간경화
복부 내에 체액이 축적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진행성 간질환이다. 이것은 만성적인 알코올중독증이나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서 나타나는 말기 징후다. 물론 그 전에 알코올중독자라면 딸기코와 복부와 흉부, 그리고 상박에 생긴 거미 모양의 붉은 점들을 볼 수 있다. 그러지 못했다면 말기 징후인 복부 팽만을 간질환의 첫 신호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원인이야 어떻든 이 병든 간이 모든 남성들에게 존재하는 미세한 양의 여성호르몬을 불활성화시키지 못하면 고환이 위축되고 성욕이 감퇴하며, 유방이 커지고 안면의 체모가 없어지는 등 외모가 여성화된다.
심부전
간경화와 마찬가지로 심장병도 복부 내에 체액을 축적시킬 수 있다. 심근이 약화되면 온몸에서 환류되는 혈액을 모두 뿜어낼 수 없다. 그 일부는 되돌아와서 우선 폐로 들어가고, 후에는 배와 다리를 포함한 몸의 나머지로 간다. 특별히 반듯이 누웠을 때 심한 호흡곤란을 느낀다면 문제의 원인이 심장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경화는 배가 다리보다 먼저 붓지만 심부전은 그 반대다.
심근 약화에 덧붙여 복부에 체액이 찰 수 있는 심장 문제가 한 가지 더 있다. 심장을 싸고 있는 조직인 심낭 질환이 그것이다. 심낭이 바이러스, 결핵균 혹은 어떤 다른 감염성 요소로 감염되면 상처를 입어 딱딱해진다. 특히 심장 수술 뒤에 종종 이런 상황이 잘 일어난다. 이 딱딱해진 조직은 심장을 압박해서 그 주위에 강철 밴드처럼 작용한다. 비록 그 밑에 있는 심근이 튼튼하고 건강하다고 할지라도 바이스로 조이는 것 같은 상황에서는 충분히 강하게 수축할 수 없다. 따라서 심근이 함유하고 있는 모든 혈액은 심근이 약화되었을 때 일어나는 상황과 똑같이 배출하기 어려워진다. 이 상태를 수축성 심낭염이라고 하는데, 혈액이 심장에서 분출되지 못해 복부로 되돌아가게 되어 결국 부종을 일으킨다. 반흔 조직에 의한 경우 외에 심낭에 싸인 심장 주변에 체액이 축적될 때도 같은 결과가 생긴다.
원인 | 처방 |
신경성 위 혹은 과민성 장 | 식습관 개선, 탄수화물 섭취 절제, 진경제 |
담낭 질환 | 저지방식, 소식, 결석 및 담낭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지 모름. 폭식 후 장기간 금식을 피할 것 |
간경화 | 지지요법, 이뇨제 |
심부전 | 내재된 원인을 치료할 것 |
수축성 내막염 | 수술 |
전신화된 암 | 지지요법, 화학 요법 |
자궁근종 | 자궁적출술 |
북부 내 모든 큰 종양 | 수술 |
'의학 > 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환에 생긴 혹, 원인과 증상 (0) | 2021.06.21 |
---|---|
사타구니에 생긴 혹, 원인과 증상 (0) | 2021.06.21 |
겨드랑이에 생긴 혹, 원인과 증상 (0) | 2021.06.21 |
목에 생긴 혹, 원인과 증상 (0) | 2021.06.21 |
잇몸이 부을 때, 원인과 증상 (0) | 2021.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