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생활지도

생활지도의 정의와 원리

by ⓨⓐⓝⓖ 2021. 5. 13.
반응형

생활지도 정의

 가이던스란 본리 이끈다는 의미를 포함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생활지도, 지도와 같은 말로 사용된다. 생활지도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문제인 가정적, 교육적, 직업적, 신체적, 정서적, 인정적인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조직적인 봉사활동이다. 생활지도의 중핵 활동은 상담활동이고, 상담의 중핵은 라포의 형성이다.

 

 

 

생활지도의 기본원리

  • 개인의 존엄과 수용의 원리 :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
  • 자율성 존중의 원리 : 본인 스스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해 가능한 방안을 탐색하고 최종적인 결정을 하도록 자율적인 능력과 태도를 강조해야 한다.
  • 적응의 원리 : 현실에 적응하는 소극적인 면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 인간관계의 원리 : 교사와 학생, 교사와 교사, 학생과 학생 등의 인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 자아실현의 원리 : 생활지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모든 개인의 자아실현을 완성하는 것이다.

 

생활지도의 실천원리

  • 균등성의 원리 : 문제아의 문제만을 지도하고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해야한다.
  • 적극성의 원리 : 소극적이 치료도 중요하지만, 적극적인 예방지도에 주력해야 한다. (사전성 원리)
  • 전인성의 원리 : 개인의 특수한 생활영역이나 기능 등의 일부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전인적이 면을 다뤄야 한다.
  • 과학성의 원리 : 개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함과 동시에 과학적인 근거에서 접근해야 한다.
  • 협동성의 원리 : 담임교사나 상담교사 외에도 학교의 전체 교사, 가정, 지역사회의 협동과정이어야 한다.
  • 계속성의 원리 : 생활지도는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진급, 진학, 졸업 후에도 계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