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에서의 학습은 행동의 변화를 초래하는 과정이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파블로프, 스키너, 손다이크 등이 있다. 행동주의는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까지 의식적 경험과 심적 과정을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중심으로 분석하던 내성법 연구를 부정하고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객관주의 심리학이다. 즉 행동주의는 관찰, 측정, 검증 가능한 객관적 행동에 관심을 두며, 학생이 배우는 것은 그 학생의 행동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교사의 임무는 학생들이 과학 학습 자료를 활용하고, 협업 활동을 함으로써 상호 작용하며, 과학 프로젝트 등의 학습을 하게 함으로써 학업 성취도를 향상하도록 한느 것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경험을 즐기고, 동료들과 교사로부터 칭찬을 받으면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고 과학에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된다. 특히 행동주의 관점에서 교사의 임무는 학생들의 특정 행동, 지식, 개념, 기능의 획득을 증가하고 강화하는 과학 학습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행동주의는 과학 실험실과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서로 관련지을 수 있는 체계를 확립했다. 교육 목표 도달에 걸리는 시간이 다를 뿐 누구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학습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또한 개인차는 다양한 강화와 과학적 조건 형성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매우 복잡한 인간 행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해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과학 수업에서 행동주의 학습 이론은 주로 학생의 긍정적인 행동이나 노력을 강화하고, 행동이 구축된 후 비정기적인 간격으로 그 행동을 강화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행동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가네의 위계 학습 이론은 학생들이 학습하여야 하는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이 있다는 인식론에 근거한다. 가네는 학습에 의하여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에 임하기 전에 그 학습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선행 학습이 필요하며, 따라서 관련된 선행 학습 내용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이에 기초하여 과제 분석을 통하여 해당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하위 학습을 규명하고, 이들을 낮은 수준의 지식부터 높은 수준의 지식까지 위계화하는 것이 필요한 일임을 강조했다.
가네는 대표적인 초등학교 과학 프로그램인 SAPA를 개발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SAPA에서는 학생들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탐구의 요소가 되는 탐구 기능을 습득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기능을 기초 탐구 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으로 구분하고, 상위의 탐구 기능을 배우기 전에 반드시 하위 탐구 기능을 배워야 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탐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슈벨의 유의미 수용 학습 알아보기 (0) | 2023.03.26 |
---|---|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과학적 사고 방법들(귀납법, 연역법, 가설연역법, 귀추법)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통합 과학 탐구 기능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기초 과학 탐구 기능 알아보기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