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미 수용 학습이란 학습할 새로운 지식이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 내의 지식과 통합하여 인지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는 학습이다. 오슈벨은 지식을 인지구조에 효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지식과 수업 절차를 조직하는 원리로 점진적 분화의 원리, 통합적 조정의 원리, 선행 조직자를 제시했다.
점진적 분화의 원리는 학습 내용 중 가장 일바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먼저 제시하고 점차 세분화하여 더 특수하고 분화된 의미와 개념을 갖게 한다. 통합적 조정의 원리는 새로운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이미 학습된 내용과 일치되고 통합되어야 한다. 새로운 정보가 이미 학습된 내용보다 상위 개념이거나 수평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선행 조직자는 새로운 학습이 시작되기 전, 새로운 학습 과제와 관련된 인지 구조를 미리 설정해주기 위해 제공한다. 설명 조직자는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 학습 과제와 관련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을 때, 보다 일반적인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개념의 정착 근거지를 마련해준다. 예를 들어, 전도에 대해 학습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고 설명하면 이는 설명 조직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비교 조직자는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 학습 과제와 관련된 개념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들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할 때, 선개념과 새로운 학습 과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결다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둘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지적하고, 기본적으로는 다르지만 혼동할 수 있는 두 지식 사이의 분별력을 증신시킨다. 예를 들어, 대류에 대해 학습하기 전에 이미 학습한 열의 이동 방식 중 전도의 특징을 먼저 제시하여 전도와 대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히 하여 변별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는 비교 조직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성주의 학습 이론 알아보기 (0) | 2023.03.27 |
---|---|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를 알아보자 (0) | 2023.03.26 |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행동주의: 가네의 위계학습이론 알아보기 (0) | 2023.03.26 |
과학적 사고 방법들(귀납법, 연역법, 가설연역법, 귀추법)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