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생들이 자발 적으로 구성한 선개념 연구는1980년대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져쓰며 여러 측면에서 매우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생들의 머리는 백지상태가 아니라 과학 수업 전이나 후에 오개념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오개념은 과학 학습에 심각한 장애 요인이 된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이 자연 사물이나 현상을 직관적으로 해결하고자 개념 변화 학습 모형이 고안되었다.
학생들의 오개념을 바꾸려면 다음과 같은 특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자신의 생각이나 개념이 불충분함을 인식해야 한다.
- 새로운 과학 개념은 학생이 이해할 만한 것이어야 한다.
- 학생에게 새로운 개념이 타당해 보여야 한다.
- 새로운 개념은 활용 가능성이 많아야 한다.
개념 변화 학습 모형은 일반적으로 개념 표현, 개념 재구성, 개념 응용, 개념 변화 검토라는 요소와 단계로 진행된다.
개념 변화 학습 모형은 자연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학생들이 수업 전에 알고 있는 선개념 중 오개념을 인지적 갈등으로 올바른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켜 주는 것을 핵심으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업 전 오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단계 | 구체적 활동의 특성 |
개념 표현 | 학생들이 학습할 내용과 관련된 자신의 오개념을 표현한다. 수업의 주제와 관련된 상황으로 이끌고자 생활과 관련된 경험 등을 이야기한다. |
개념 재구성 | 명료화 교환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게 하여, 다른 학생들의 생각에 비추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을 명료화할 수 있게 한다. |
갈등 상황 경험 학생들의 개념과 상충되는 현상이나 사건을 제시한다. 이때 학생들은 자신의 기존 개념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불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자신의 개념을 바꾸려는 동기를 제공한다. 앞 단계에서 확인 한 여러 가지 오개념을 인식하게 하고,이 오개념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상황을 제시한다. 이때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거나, 시범 실험, 또는 실제 실험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
새로운 개념 구성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부적절한 개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구성하기 어려운 과학 개념은 교사가 제시한다. 학생들의 개념과 과학 개념을 비교할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를 잘 드러나게 계획해야 한다. |
|
새로운 개념 평가 새로운 개념이 얼마나, 어떻게, 왜 타당한지 평가한다. 학생들이 새로운 생각이 옳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게 한다. |
|
개념 응용 | 학생들에게 새로운 소재나 상황을 제시하여 재구성한 개념을 적용하게 한다. 이 과정으로 새로운 개념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인식하게 한다. |
개념 변화 검토 | 학생들의 생각이 선개념과 비교하여 얼마나, 어떻게,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선개념이 바뀌지 않았으면 피드백을 제공한다. |
개념 변화 학습 모형을 적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 이 학습 모형을 적용하려면 교재를 재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 이 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수업을 전개할 때 한 제재의 학습에는 대체로 두 차시의 시간이 요구된다.
- 가능한 한 학생들 스스로 새로운 과학적 개념을 생각해 내도록 유도한다.
- 새로운 개념의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이 얼마나 성취하였는지를 얼아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개념이 얼마나 적절한지를 평가한다.
반응형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학습 모형 중 과학-기술-사회 STS 학습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27 |
---|---|
과학 오개념이 발생하는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7 |
과학 학습 모형 중 순환 학습 모형 + 5E, POE 알아보기 (0) | 2023.03.27 |
과학 학습 모형 중 탐구 학습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27 |
과학 학습 모형 중 발견 학습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