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과학 오개념이 발생하는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by ⓨⓐⓝⓖ 2023. 3. 27.
반응형

 현상 중심적 사고는 직접 관찰이 가능한 현상의 측면에 근거하여 생각한다. 현상 중심적 사고의 예는 설탕이 용해되는 것을 설탕이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현상으로는 설탕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제한적 사고는 두드러진 현상이나 떠오르는 생각을 바탕으로 사고한다. 제한적 사고의 예는 얼음을 녹지 않게 보관하려면 쇠로 만든 상자가 천으로 만든 상자보다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철의 차가운 느낌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변화 중심적 사고는 평형 상태보다는 변화 상태에서만 중점을 두어 생각한다. 변화 중심적 사고의 예는 운동 중인 물체에는 힘이 작용하지만, 정적인 평형 상태에서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단순 인과적 사고는 어떤 현상이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일어난다고 생각하지 못하고 단순한 원인-결과 관계로만 생각한다. 단순 인과적 사고의 예는 비눗방울이 터지는 까닭을 물의 증발, 중력 등의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고 단순히 시간이 지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미분화된 개념은 과학자의 개념과 다른 일상생활의 개념을 흔히 사용하는 것이다. 미분화된 개념의 예는 무게라는 용어로 질량, 밀도, 힘 등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여 사용한다.

 

 상황 의존적 사고는 과학자는 다양한 상황을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하지만, 학생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생각한다. 상황 의존적 사고의 예는 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수증기는 열이라고 생가갛고, 이슬이 증발한 수증기는 공기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