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는 과학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매우 큰 사고 중 하나이다. 거의 모든 유기 용매와 수소, 아셀틴렌, 암모니아 등의 가스는 불에 타기 쉽다. 이러한 가스와 용매의 증기는 공기와 섞였을 때 폭발하여 화재를 일으키기 쉽다. 그러므로 에테르 등 휘발성 유기 용매를 사용할 때에는 증발하지 않도록 마개를 꽉 닫아 밀폐하여 보관해야 한다.
또 알오콜램프를 부주의하게 취급하여 화재가 자주 일어난다. 알코올램프가 넘어지거나 깨져서 실험대 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가연성 물체를 불이 난 곳에서 멀리 치운 뒤에 불을 모래나 젖은 걸레로 덮거나 물을 부으면 꺼진다. 옷에 불이 붙었을 경우에느 걸레로 문질러 끄거나 바닥에 굴려서 불을 끈다.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에는 물을 부어도 불이 꺼지지 않으므로 모래나 젖은 걸레로 덮어 불을 꺼야 한다.
화재 사고는 과학실에서 일어나기 쉽지만 가장 위험하고 피해가 큰 사고이다.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과학실에는 반드시 소화기나 모래주머니, 모래 상자가 항상 비치되어야 하며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는 이를 이용하여 불을 꺼야 한다.
과학실에서는 잠재적으로 폭발성이 있는 물질을 다루게 되므로 폭발의 가능성은 항상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사항에 주의하면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 가능하면 참고 서적을 찾아 미리 폭발의 정도를 인지한다.
- 잘 모르는 물질로 실험을 할 때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양을 늘린다.
- 폭발하기 쉬운 화합물은 묽은 용액에서 조제하거나 다루어야 한다. 이때 분해하여 생기는 에너지를 용매가 흡수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 온도나 압력의 급상승, 예기치 않은 증기의 발생, 가스의 발생 등을 폭발의 전조로 보고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고가 일어났을 때에는 조치를 취할 여유가 없으며 주위에 경고를 하고 자신도 빨리 피해야 한다. 안전한 장소에서 사태를 보고 기타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유독한 시약과 유리 기구를 사용하는 화학 실험을 할 떄에는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보안경과 안전 마스크, 안전 조끼와 고무장갑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실험해야 한다.
부식성 액체란 강한 염기, 강한 산을 일컫는다. 강염기는 피부, 특히 눈에 위험할 뿐 아니라 실험 기구나 의복도 부식시킬 수 있다.
만일 이러한 부식성 액체를 입으로 들이마시면 점막이나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므로 치명적이다. 질산이나 염산의 증기를 호흡기로 들이마시면 기관지와 폐에 손상을 주어 치명적인 폐부종을 일으키게 된다. 진한 황산이나 고체 수산화 나트륨은 물을 부으면 격렬히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물에 시약을 조금씩 넣으며 섞어 주어야 한다.
- 액체가 튈 위험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안면 보고 마스크를 착용한다.
- 염산이나 질산과 같이 해로운 증기가 나오는 것은 환풍기 안에서 다룬다.
- 부식성 있는 물질을 옮길 때 입으로 피펫을 빨지 않는다.
- 입구가 좁은 병에 옮길 때에는 깔때기를 사용한다.
- 진한 산에 물이나 반응 물질을 급하게 넣지 않는다. 반드시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산을 천천히 조금씩 물이나 반응 물질에 넣어야 한다.
- 실험대에 한 방울이라도 부식성 시약을 떨어뜨렸을 때에는 즉시 젖은 걸레로 닦는다. 많은 양을 쏟았을 때에는 다량의 물을 부어 희식시키거나, 마른 모래로 덮어 흡수시켜 모은 뒤에 희석해야 한다.
- 피부에 묻었을 경우에는 즉시 흐르는 물로 씻어 내야 한다. 이때 강염기인 경우에는 묽은 아세트산 3%이나 식초로 씻어주고, 강산인 경우에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으로 씻는다. 그리고 다시 흐르는 물로 씻어 준다. 만일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병원에 가야 한다.
- 눈에 튀어 들어갔을 경우에는 즉시 흐르는 물로 씻고 병원에 가야 한다.
- 입으로 들어갔을 경우에는 즉시 병원에 가야 하며, 병원에 가는 도중에 다량의 물을 마시게 한다. 만약 산을 마셨을 경우에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 염기를 마셨을 경우에는 묽은 아세트산이나 식초를 먹게 한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 약품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
실험실 유리 기구 안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실험실 가열 기구 사용시 안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실험 안전 지도와 안전 수칙 알아보기 (0) | 2023.03.28 |
과정 중심 평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