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실험 안전 지도와 안전 수칙 알아보기

by ⓨⓐⓝⓖ 2023. 3. 28.
반응형

 과학실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부주의나 방심으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과학을 지도하는 교사는 교육과정 내용을 철저하게 이해하여 실험 준비부터 실험, 정리 과정까지 전 단계에 걸쳐 학생들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교사가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과 교구나 장비의 안전한 사용법에 대한 지도를 소홀히 한 경우, 안전사고 발생 시 교사의 과실이 인정될 수 있다. 과학실에는 안전 수칙을 반드시 부착하고, 정기적으로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또 과학실에서는 보안경, 실험복 착용, 안전장갑 사용을 습관화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하는 일반적인 과학실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다.

  1. 과학실에서는 절대로 뛰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2. 실험을 할 때에는 가급적 보안경, 실험복을 착용한다. 실험복은 화학 약품으로부터 몸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3. 실험복을 입지 않는 실험이어도 소매가 넓은 옷은 실험에 방해가 되므로 입지 않는다.
  4. 긴 머리는 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뒤쪽으로 머리를 묶은 후 실험을 해야 한다.
  5. 절대로 혼자 실험하지 않는다. 혼자 실험을 하다가 위급한 상황에 닥쳤을 때 대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6. 시약병은 반드시 두 손으로 옮긴다. 한 손은 병의 몸통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병 아래를 받쳐 든다. 시약병의 뚜껑만 잡고 들어 올리면 위험하다.
  7. 젖은 손으로 전기 기기 및 전기 배선을 만지지 않는다.
  8. 냄새를 맡을 때에는 손을 부채질을 하여 맡고, 코를 직접 대고 맡지 않는다.
  9. 어떤 물질이든 밀폐된 용기에 넣고 가열해서는 안된다.
  10. 화학 약품은 절대로 맛보지 않는다. 시험관에 화학 약품이 들어 있는 경우, 시험관의 입구를 사람에게 향하지 않도록 한다.
  11. 날카로운 물건은 조심히 다룬다.
  12. 기체가 발생하는 실험을 할 때에는 과학실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한다.
  13. 뜨거운 물체를 만질 때에는 열에 견딜 수 있는 장갑을 끼거나 집게를 사용한다.
  14. 실험 기구가 깨졌을 때에는 함부로 만지지 말고 선생님께 알린다.
  15. 사고 발생 시에는 곧 바로 선생님께 알린다.
  16. 모든 실험 기구의 조작 및 정리는 선생님의 지시에 따른다.

 야외 학습이나 현장학습 시에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장소의 특징, 주의해야 할 안전 수칙 등을 교육하고 학생들이 적절한 복장과 신발을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이 아무 식물이나 먹지 않도록 지도하며 확인되지 않은 암석이나 광물 등의 맛을 보지 못하게 한다. 또, 학생들이 동물과 접촉 시 반드시 손을 씻도록 지도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