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실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부주의나 방심으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과학을 지도하는 교사는 교육과정 내용을 철저하게 이해하여 실험 준비부터 실험, 정리 과정까지 전 단계에 걸쳐 학생들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교사가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과 교구나 장비의 안전한 사용법에 대한 지도를 소홀히 한 경우, 안전사고 발생 시 교사의 과실이 인정될 수 있다. 과학실에는 안전 수칙을 반드시 부착하고, 정기적으로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또 과학실에서는 보안경, 실험복 착용, 안전장갑 사용을 습관화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하는 일반적인 과학실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다.
- 과학실에서는 절대로 뛰거나 장난치지 않는다.
- 실험을 할 때에는 가급적 보안경, 실험복을 착용한다. 실험복은 화학 약품으로부터 몸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 실험복을 입지 않는 실험이어도 소매가 넓은 옷은 실험에 방해가 되므로 입지 않는다.
- 긴 머리는 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뒤쪽으로 머리를 묶은 후 실험을 해야 한다.
- 절대로 혼자 실험하지 않는다. 혼자 실험을 하다가 위급한 상황에 닥쳤을 때 대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시약병은 반드시 두 손으로 옮긴다. 한 손은 병의 몸통을 잡고 다른 한 손은 병 아래를 받쳐 든다. 시약병의 뚜껑만 잡고 들어 올리면 위험하다.
- 젖은 손으로 전기 기기 및 전기 배선을 만지지 않는다.
- 냄새를 맡을 때에는 손을 부채질을 하여 맡고, 코를 직접 대고 맡지 않는다.
- 어떤 물질이든 밀폐된 용기에 넣고 가열해서는 안된다.
- 화학 약품은 절대로 맛보지 않는다. 시험관에 화학 약품이 들어 있는 경우, 시험관의 입구를 사람에게 향하지 않도록 한다.
- 날카로운 물건은 조심히 다룬다.
- 기체가 발생하는 실험을 할 때에는 과학실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한다.
- 뜨거운 물체를 만질 때에는 열에 견딜 수 있는 장갑을 끼거나 집게를 사용한다.
- 실험 기구가 깨졌을 때에는 함부로 만지지 말고 선생님께 알린다.
- 사고 발생 시에는 곧 바로 선생님께 알린다.
- 모든 실험 기구의 조작 및 정리는 선생님의 지시에 따른다.
야외 학습이나 현장학습 시에도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장소의 특징, 주의해야 할 안전 수칙 등을 교육하고 학생들이 적절한 복장과 신발을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이 아무 식물이나 먹지 않도록 지도하며 확인되지 않은 암석이나 광물 등의 맛을 보지 못하게 한다. 또, 학생들이 동물과 접촉 시 반드시 손을 씻도록 지도한다.
반응형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예방 대책을 알아보자 (0) | 2023.03.30 |
---|---|
실험실 가열 기구 사용시 안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과정 중심 평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학습 평가 방법 알아보기 (0) | 2023.03.28 |
과학 학습 평가의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