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실에서 흔히 사용하는 유리 기구로는 비커, 플라스크, 눈금실린더, 시험관, 집기병, 스포이트, 페트리 접시, 유리 막대 등이 있다. 유리 대신 플라스틱 제품도 나와 있으므로 가열 실험이 아닌 경우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일반적으로 유리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한다.
- 금이 가거나 깨진 유리 기구는 사용하지 않는다.
- 깨진 유리 기구를 치울 때에는 반드시 장갑을 낀다.
- 고무마개에 유리관을 끼울 때에는 유리관을 물로 적신 후에 돌려 가며 끼운다.
- 가열할 때에는 유리 기구 중 경질 유리로 된 것만 쓴다. 또 물기 묻은 유리 기구를 가열할 때에는 반드시 물기를 제거한 뒤에 가열한다.
- 유리 막대를 시험관 안에 넣을 때는 유리 막대 끝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조심히 넣는다. 그러지 않을 경우 시험관과 유리 막대가 부딪쳐 시험관이 깨지게 된다.
유리 기구에 시약 따르기
- 비커, 시험관, 플라스크에 시약을 따를 때에는 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는 유리막대를 비스듬히 세운 다음 액체가 유리 막대를 따라 흘러내려 가게 한다.
- 고체 물질을 넣을 때에도 유리 기구의 안쪽 벽을 따라 가볍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곧바로 떨어뜨리면 유리가 깨질 수 있다.
스포이트 다루는 법
- 액체를 빨아들일 때에는 스포이트의 고무 꼭지를 꽉 누른 채로 액체에 넣은 후 천천히 놓으면 액체가 스포이트 안으로 빨려들어간다.
- 액체를 떨어뜨릴 때에는 고무 꼭지를 살며시 눌러 필요한 양의 용액이 떨어지도록 한다.
- 액체 시약이나 용액이 들어 있는 스포이트는 거꾸로 세우면 안 된다.
- 한 용액을 옮기는 데 사용한 스포이트를 다시 다른 용액을 옮기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 위험한 액체를 옮길 때에는 비커나 시험관의 벽을 흘러내리게 한다.
- 스포이트를 사용하기 전 고무 꼭지가 녹아서 변형되지는 않았는지, 스포이트 안에 이물질이 묻어 있지는 않는지 확인한다.
유리 기구 닦는 법
- 유리 기구는 바깥쪽을 먼저 닦고 안쪽을 닦는다. 물로 닦거나 세제를 이용하며, 기구의 안쪽을 닦을 때는 세척 솔을 이용한다.
- 시험관 밑에 손가락을 대고 세척 솔 자루의 중간을 쥐고 닦는다.
- 시험관은 시험관대에 거꾸로 세워 건조하고, 비커나 플라스크 등은 깨끗한 헝겊 위에 엎어 놓거나 건조대에 꽂아 건조한다.
유리 기구에 다친 경우
핀셋으로 유리 조각을 제거한 다음 물로 씻고 3% 과산화 수소수로 소독한다.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과산화 수소는 농도가 진한 것이 많으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피가 멈추지 않으면 지혈제를 바른다. 응급 처치를 한 뒤에 보건 교사나 의사의 치료를 받도록 한다.
반응형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실 약품별 유의 사항을 알아보자 (0) | 2023.03.30 |
---|---|
실험 약품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학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예방 대책을 알아보자 (0) | 2023.03.30 |
실험실 가열 기구 사용시 안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실험 안전 지도와 안전 수칙 알아보기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