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도덕교육론59

인간 욕망의 조절과 사회적 규범의 확립: 순자 알아보기 순자는 예를 주장하여 성악을 설명하고 있는데, 그의 인성론의 핵심은 정의 반응으로서의 욕망이 무한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무릇 귀하게는 천자가 되고 부하게는 천하를 가지는 것은 사람의 정이 모두 바라는 바이다라고 하였듯이, 바로 이 점이 인간의 성이 악하다는 관점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 그래서 선은 인위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사람의 본성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한다. 그래서 싸움과 빼앗음이 생겨 양보가 사라진다. 또, 태어나면서부터 싫어하고 미워한다. 그래서 해치고 상하게 하여 성실과 믿음이 사라진다. 또 태어나면서부터 귀와 눈의 욕망은 소리와 색을 좋아한다. 그래서 음란함이 생겨 예의와 문리가 사라진다라는 말은 정의 구체적인 외부 표출인 욕망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인간의 욕망.. 2023. 3. 29.
도덕적 선한 본성의 회복과 확충: 맹자 알아보기 맹자는 인의설을 세워 성선과 양기를 주장하였으며, 성이 생과 심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맹자에 이르러 성의 심리적 측면이 처음으로 구체화된 것이다. 이제 성은 심리적 측면과 생리적 측면을 포괄한다. 맹자는성선의 근거를 천의 내재성과 합목적성에 두었다. 하늘의 합목적성 때문에 성이 선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맹자는 그 증거로 사람에게는 남에게 차마 못하는 어진 마음이 있다는 것을 내세웠다. 즉, 맹자는 인간에게 불인인지심이 있다고 하여 그것을 인에서는 측은, 의에서는 수오, 예에서는 사양, 지에서는 시비라 하며, 이 네 가지를 사성의 단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사단이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선을 실행하여 그 근본을 이룰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렇듯이,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확신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2023. 3. 29.
인간 이해와 사랑의 실천: 공자에 대해 알아보자 유학은 인을 중심으로 하고 효제, 충서 등을 그 실천 요목으로 삼는 도덕 사상으로 공자가 집대성하였다. 유학은 통상 유교와 같은 의미로 이해되지만, 유교를 성립시키는 학문으로서의 교학적인 의미가 강하며, 그 외연은 매우 넓어 사회와 문화 등을 포괄한다. 유학의 특징은 인간 중심주의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완성해 갈 수 있으며, 또 현실 속에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반영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실천성의 문제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공자는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기겠는가라고 하였고, 삶도 잘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라고 답하였다. 이 점은 공자의 관심이 귀신이 아닌 이간, 죽음이 아닌 삶에 있음을 잘 보여 주는 대목이다... 2023.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