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개념화·재개념주의
기존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을 통해 교육과정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다. 기술적 처방 이론(타일러의 전통적 교육과정)보다는 계속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교육과정을 계획된 실체로 보기보다는 삶의 경험에 대한 분석, 사적인 경험에 대해 탐구하고 이해한다. 쿠레레는 이수해야 할 교과목이라는 명사가 아닌 경험한다는 동사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교육과정은 인생행로의 해석이라고 본다.
쿠레레 방법 4단계
- 회상단계 : 과거를 현재화하는 단계이다. 자신의 실존적 경험을 회상하며 기억을 확장해나간다.
- 전진단계 : 미래에 대해 상상하는 단계이다. 자유연상기법을 통해 1년 후, 10년 후, 30년 후와 같은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 본다.
- 분석단계 : 자기성찰을 통하여 과거·현재·미래를 동시에 펼쳐 놓은 후, 관계를 분석한다.
- 종합단계 : 생생한 현실로 돌아가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기에게 주어진 현재의 의미를 자문하는 단계이다.
자서전적 방법
교육경험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자서전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자서전적 방법은 자신의 과거 삶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서 과거 경험을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학생 개개인이 학교교육을 통해 갖게 된 자신의 경험으로 되돌아가 그 경험에 대해 반성하고 분석한다. 현재 교육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반응형
'교육 > 교육과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워드 설계 모형 (0) | 2021.07.14 |
---|---|
스킬백 역동적 모형 (0) | 2021.07.13 |
워커의 숙의 모형 (0) | 2021.07.11 |
타바의 모형 (0) | 2021.07.10 |
타일러의 합리적 모형 (0) | 2021.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