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뢰도
신뢰도는 측정하려는 것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이다. 검사도구가 얼마나 정확하게 오차 없이 측정하였느냐의 문제이다. 오차가 크면 신뢰도는 낮고, 오차가 적으면 신뢰도는 높다. 신뢰도는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신뢰도의 종류
- 재검사 신뢰도 :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피험자 집단에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 점수의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 동형검사 신뢰도 : 두 개의 동형 검사를 제작한 뒤 동일 피험자 집단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두 검사점수의 상관계수로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 반분검사 신뢰도 : 한 번 실시한 검사 점수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두 부분 검사점수의 상관계수를 계산한 후 스피어맨-브라운 공식으로 신뢰도를 추정한다.
-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 : 문항 하나하나를 하나의 검사로 간주하여 문항들 간의 유사성 혹은 측정의 일관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신뢰도를 높이는 요인
- 문항동질성 : 문항의 구성을 동질화시킨다.
- 변별도 높은 문항 : 문항변별도가 높은 문항을 많이 사용한다.
- 곤란도가 중간 문항 : 문항곤란도가 중간 정도인 문항을 많이 사용한다.
- 답지수, 문항수 : 문항수와 답지수를 가능한 많이 출제한다.
- 환경유사 : 검사환경을 유사하게 유지한다.
- 진술 : 문항의 진술을 명확하게 한다.
- 교육목표 : 평가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한다.
- 범위 : 검사 범위는 좁게 출제한다.
- 골고루 출제 : 범위 내에서 골고루 출제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평가, 통계,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당도 (0) | 2021.08.12 |
---|---|
객관도 (0) | 2021.08.11 |
스테플빔의 CIPP모형(운영중심 평가모형) (0) | 2021.08.09 |
타일러의 목표달성 중심 평가모형 & 스크리번의 탈목표 평가모형(판단모형) (0) | 2021.08.08 |
문항제작과 유형 (0) | 2021.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