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사회학

신교육사회학

by ⓨⓐⓝⓖ 2021. 6. 23.
반응형

신교육사회학 등장배경

 학교제도가 단선제 형태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불평등이 계속되었다. 이에 따라 외형적, 제도적인 측면보다는 학교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에 관심을 가진 연구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신교육사회학은 교육과정과 교실 상호작용 등 학교 내부 과정에 초점을 둔다.

 


교육과정 사회학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교과)이 보편타당한 것이 아니라 지배집단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지식으로 지배집단에 유리한 지식들이 교육내용으로 선정된다고 본다. 기존의 교육과정을 변화시키지 않고는 사회의 평등을 실현시킬 수 없다고 주장한다.

  • 지식사회학 : 전통적 지식관을 비판하며, 지식은 사회적 상황에 의해 제약을 받는 하나의 이데올로기일 수 있기에 학교에서는 왜곡된 지식체계인 지배 이데올로기를 전수한다고 주장한다.
  • 지식의 상대성 : 많은 지식은 절대적이기 보다는 상대적인 지식들이 많다.
  • 지식의 가변성 : 대부분의 지식은 가변적이다.

 


교실사회학

 교실사회학은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민주적이고 평등적으로 개선해야 함을 주장한다.

교사기대 : 교사들의 긍정적(부정적) 기대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로젠탈과 야콥슨의 실험 (오우크 학교실험)

저학년이 기대효과가 크다.

학업성취 중간능력반에서 기대효과가 크다.

낮은 사회적 계층 학생들에 있어 기대효과가 크다.

 

동일한 이론

자기충족 예언(자기 성취적 예언) : 타인으로부터 기대는 자신이 성취할수 있다는 예언을 받고, 자기 기대가 충만해진다.

머튼의 예화 : 어떤 은행이 파산하리라는 소문은 그 은행에 예금한 예금자들의 인출급증으로 결국 은행이 파산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피로의 플러시보 효과 : 약을 먹은 후 병이 낫는 것은 약의 효능보다는 약을 먹었기 때문에 나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피그말리온 효과 :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습자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교사가 기대하지 않는 학습자의 성적이 떨어지는 것은 골름 효과라고 한다.

호손효과 : 비공식적 조직에서 인간적 만족감이 공식적 조직에서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울포트의 전쟁기대 이론 : 상대국가가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가 실제로 전쟁으로 이어진다.

토마스 법칙 : 사람들이 상황들을 현실로 규정하면 그 상황들은 결과적으로 현실이 된다.

 

교사기대의 전달방식

교사는 특정 현상이나 학급에 대하여 갖는 기대는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전달된다.

교사느 학습자의 잠재성을 제한해서는 안된다. 교사는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여 학습자의 잠재성을 실현시켜 주어야 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스타인, 교육자율성  (0) 2021.06.25
학업성취의 결정 요인  (0) 2021.06.24
갈등주의  (0) 2021.06.22
기능주의  (0) 2021.06.22
저항이론  (0) 2021.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