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사회학

갈등주의

by ⓨⓐⓝⓖ 2021. 6. 22.
반응형

사회에서의 갈등주의

  • 모든 사회는 변화 지향적이다.
  • 모든 사회는 불일치와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
  • 사회변화는 급진적이고 비약적으로 진행된다. (급진적·개혁주의적)
  • 사회의 각 집단은 경쟁적이며, 대립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의식화 중시)
  • 일반적으로 사회가 선호하는 가치는 지배집단과 관련을 맺고 있다. (이데올로기 주입 비판)
  • 사회의 각 기관들은 지배집단의 이익에 봉사하고 있다.
  • 사회갈등의 원인은 재화의 희소성과 불평등한 분배에 기인한다. (평등분배를 위한 재구조화 강조)

 

교육·학교에서의 갈등주의

  • 학교는 기존의 위계질서를 공고히 하며, 지배계급의 이익에 종사하는 도구이다.
  • 학교는 기존의 질서를 재생산함으로써 사회 불평등을 영속화한다. 학교교육을 자본주의적 위계구조에 대응하여 노동자를 차별적으로 양산하는 계급 재생산의 메커니즘이라고 본다.
  • 교육이 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로서 경제적 토대의 대응체라는 유물론적 해석에 근거하고 있다. 학교에서 가르쳐지는 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와 이익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 학교는 피지배계층에게 기존의 불평등 위계구조에 순응하도록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적 기관이다.
  • 학교는 인간을 강요하고, 억압함으로써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시키고 있다.
  • 학교는 지적 기술보다 지배계층이 선호하는 가치관, 규범, 태도 등을 은밀히 강조하고 있다.
  • 학교에서는 행하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는 외형상 공정하게 보이나, 피지배계층의 아동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키고, 지배질서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위장된 이념에 불과하다.

 

선발에서의 갈등주의

  • 계급에 따른 사회진출이라는 능력주의 규범은 허구적이며, 능력주의 교육관은 자본주의적 질서를 정당화하는 것일 뿐이다. (계급 재생산론)
  • 학교가 일류교, 이류교 또는 우열반 같은 평성을 통해 계급적 선발과 분배과정을 정당화시킨다고 파악하고 있다.
  • 학교교육의 선발과정과 선발기능을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찾고 있다. 교사가 교실에서 행하는 교육활동, 교수활동은 선발과 분배 기능을 합리화시키는 과정에 불과하다고 판단한다.
  • 사무적 편의를 위한 아동 선별, 관료주의적 상담실 운영 등을 비판하고 있다.
  • 잠재적 교육과정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그 속에 내재된 계급성을 찾아내려 한다. 때로는 학교를 교도소에 비유하기도 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업성취의 결정 요인  (0) 2021.06.24
신교육사회학  (0) 2021.06.23
기능주의  (0) 2021.06.22
저항이론  (0) 2021.06.21
콜맨보고서  (0) 2021.06.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