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사회학

사회언어 이론

by ⓨⓐⓝⓖ 2021. 6. 9.
반응형

사회언어 연구

 번스타인에 의하면 지배계층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언어(공식어)를 학교교육의 내용으로 선택하여 학교교육에 있어서 높은 성취를 보이고, 높은 성취는 결국 사회적 지위를 정당화하게 된다. 학교에서는 지배계급의 공식어(공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중어를 사용하는 피지배계급은 학업성취를 이루기가 어렵다. 학교교육은 결국 언어를 통하여 지배집단의 지위를 영속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공식어

  • 정확한 문법적 어순과 구문으로 내용이 명확히 전달된다.
  • 복합문은 사용함으로써 논리적 강조가 명백히 드러난다.
  • 논리적 관계나 시간적·공간적 접근을 표시하는 전치사가 빈번히 사용된다.
  • 비인칭주어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 많은 형용사와 부사들이 신중하게 선택되어 사용된다.
  • 개인감정을 표현이 문장의 내적 구조나 문장 사이에 명백히 드러나 있다.
  • 상징적 표현에서 각각의 언어가 가지고 있는 미묘한 어의가 세밀하게 구별된다.
  • 언어가 복잡한 인지위계를 표현함으로써 경험을 조직하는 수단이 된다.

 

대중어

  • 구문형성이 졸렬하고, 대체로 문장이 짧고, 문법적으로 미완결 문장이다.
  • 단순한 접속사가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 언급되는 주제를 명백히 한정시키는 데 필요한 종속절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계속적인 언어표현에서 형식상의 주어가 일관성 있게 사용되지 않는다.
  • 형용사와 부사의 사용이 딱딱하고 제한되어 있다.
  • 조건절과 문장의 주어로서의 비인칭주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단정적인 발언에서 이유와 결론이 혼돈된 문장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 동조기대적인 언어가 빈번히 사용된다.
  • 상투적인 관용적 표현을 빈번히 사용한다.

 

공식어, 대중어 비교

공식어 대중어
① 문장이 길다.
② 논리적, 체계적이다.
③ 수식어가 많다.
④ 비인칭어를 많이 쓴다.
⑤ 전치사를 많이 쓴다.
⑥ 문장이 유연하다.
① 문장이 짧다
② 논리성, 체계성이 약하다.
③ 수식어가 적다.
④ 상투적인 관용어를 많이 쓴다.
⑤ 단순한 접속사를 많이 쓴다.
⑥ 구문 형식이 졸렬하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집단 & 동료집단  (0) 2021.06.10
다문화교육  (0) 2021.06.10
드리븐, 규범학습  (0) 2021.06.09
뒤르켐, 교육사회학  (0) 2021.06.08
기능주의 교육사회학  (0) 2021.06.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