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사회학

학교집단 & 동료집단

by ⓨⓐⓝⓖ 2021. 6. 10.
반응형

학교집단

 스미스(Smith)가 밝힌 것으로 1, 2차 집단에 속할 수 없는 성격의 집단으로 학교, 교회, 우애단체 등을 중간집단이라 한다. 브라운(Brown)은 중간집단을 양차집단으로 표현하였다.

 

특징

  • 집단의 크기 면에서 중간이다. 1차 집단은 작고, 2차 집단은 큰 규모를 지닌다.
  • 성원의 가입방법 면에서 강제성과 선택성(계약성)이 혼합되었다. 의무교유기관은 강제참여 집단으로 구성된다.
  • 1차적인 동시에 2차적이며, 직접적이 동시에 간접적인 관계이다.
  • 인간관계 결합성의 지속성이 크다.

동료집단

 동료집단은 나이, 신분, 흥미 등이 미슷한 집단일 뿐만 아니라 보다 가까운 감정과 행동을 서로 간에 느끼는 집단으로 자연적 과정으로 형성된다.

 

특성

  • 동등하고 평등한 권리를 지닌다.
  • 자신의 태도와 판단에 대해 자율성을 가진다.
  • 같은 또래의 아동끼리 비교적 강한 집단 감정을 갖는다.
  • 상호간 감정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교육관계보다 영속적이지는 못하다.

 

교육적 의의

  • 민주주의 정신을 학습한다.
  •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 문화의 동질성을 확보한다.
  • 개인의 역할을 발견한다.
  • 자신감과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 지도성이 확보된다.
  • 사회화가 촉진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 선발  (0) 2021.06.10
양적 접근 & 질적 접근  (0) 2021.06.10
다문화교육  (0) 2021.06.10
사회언어 이론  (0) 2021.06.09
드리븐, 규범학습  (0) 2021.06.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