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교평준화 배경
1969년 무시험제에 의한 중학교 평준화에 이어 1974년 고교평준화가 도입되었다. 중학교 입시지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회문제화된 고교 입시경쟁을 해소하기 위해서 채택되었다. 1974년 부산과 서울을 시작으로 대구, 인천, 광주 등 전 지역까지 확대되었다.
고교평준화 장점
- 고등학교 교육기회가 확대되었다.
- 과열 고입경쟁을 해소하고 중학교 교육의 정상화가 이루어졌다.
- 중학교, 고등학교 간의 교육격차가 완화되었다.
- 지방학생들의 대도시 집중이 완화되었다.
고교평준화 단점
- 학급 내에 능력 차이가 있는 학생들이 함께 공부함으로써 수월성 교육이 어렵다.
- 우수학생의 교육이 어려워 하향평준화 현상과 학력저하가 나타난다.
-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선택하는 권리가 제한된다.
- 사립고등학교 자율성이 약화되어 학교의 특성이 없어진다.
보완점
- 고등학교의 교육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추진한다.
- 자율학교와 자율형 사립고를 도입하였다.
- 수월성 교육을 도입하였다.
고교평준화 폐지 당위성
- 교육의 획일화를 통해 개인의 적성과 소질이 무시되어 수월성 교육이 어렵다.
- 학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사립고의 자율성 제약으로 인해 능력에 따른 수월주의적 교육 실현에 문제점이 있다.
- 경쟁력 있는 학교가 나올 가능성이 없다.
고교평준화 폐지 대응책
- 신입생 선발에서도 국영수 필답고사를 금지하여 고교입시 악몽 재발을 금지한다.
- 개별학교의 자율성 책무성 강화를 위해 학교 개혁을 추진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 노동시장 분류 (0) | 2021.06.13 |
---|---|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0) | 2021.06.12 |
발전교육론 (0) | 2021.06.11 |
교육과 선발 (0) | 2021.06.10 |
양적 접근 & 질적 접근 (0)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