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심리학

동기이론

by ⓨⓐⓝⓖ 2021. 5. 13.
반응형

 동기란 유기체의 행동을 유발하고 방향을 제시 그리고 유지시키는 내적 상태를 의미한다. 또 유기체의 행동을 유발하는 내적 조건과 외적 자극을 의미한다.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는 흥미나 호기심처럼 유기체 내부에서 유래된 동기를 말한다. 외재적 동기는 보상이나 칭찬과 같이 유기체 외부에서 발생하는 동기를 의미한다.

 

인지평가이론

 내재적으로 동기가 유발된 상태에서 외재적 보상이 주어지면 내재적 동기가 감소된다는 것이다.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로 전환되는 것이 외재적 동기가 내재적 동기로 전환되는 경향보다 높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등으로 구성된다. 낮은 단계의 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이 되면 상위 단계의 욕구가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존경의 욕구 등은 부족한 부분이 채워지면 사라지는 결핍 욕구이고, 자아실현, 인지적, 심미적 욕구는 계속해서 나타나는 성장 욕구이다.

 

앳킨슨의 동기이론

 앳킨슨의 동기이론은 성공추구동기형과 실패회피동기형으로 나뉜다.

 성공추구동기형은 실패회피동기보다는 성취동기가 높은 경우이다. 성공추구형은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중간 능력의 과제를 선택한다. 과제를 성공하려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이다. 성공하면 동기가 감소하고, 실패하면 동기가 증가한다.

실패회피동기형은 성취동기보다는 실패회피동기가 높은 경우이다. 실패회피형은 아주 높거나 아주 낮은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실패의 핑계를 만들거나, 실패를 과제의 난이도에 귀인시키려 하기 때문이다. 성공하면 동기가 증가하고, 실패하면 동기가 감소한다.

 

기대-가치

 기대(성공가능성)은 성공할 가능성에 대한 신념이다. 가치(성공유인가)는 성공이 가져다주는 이점을 말한다. 기대가 전혀 없거나 가치가 전혀 없으면 동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약간의 기대나 가치가 있어야만 동기가 발생한다.

 

목표지향성

 숙달목표(학습목표, 과제지향, 과제중심)는 과제의 숙달이나 과제의 목표 달성에 중점을 두는 동기형이다. 수행목표(자아개입, 능력중심)는 타인과 비교에 중점을 두는 동기형이다.

  • 능력측면 : 숙달목표형은 변화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수행목표형은 변화가 어렵다고 본다.
  • 귀인측면 : 숙달목표형은 성공이나 실패의 요인을 노력으로 귀인시키는 반면 수행목표형은 능력부족으로 귀인시킨다.
  • 과제측면 : 속달목표형은 개인적으로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하는 반면 수행목표형은 쉬운 과제를 선택한다.
  • 평가측면 : 숙달목표형은 목표달성도에 초점으 두는 준거지향평가를 사용하지만 수행목표형은 타인과 상대적 비교에 초점을 두는 규준지향평가를 사용한다.
  • 실수측면 : 숙달목표형은 실패했을 때 더 노력하거나 전략을 바꾸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자기통제가 강하다. 수행목표형은 실패했을 때 부란감이 높아지고 수행회피형으로 전환되고 자기통제가 약하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결정이론&자기가치이론  (0) 2021.05.13
귀인이론  (0) 2021.05.13
메타인지  (0) 2021.05.13
인지적 행동수정  (0) 2021.05.13
콜브 학습스타일 모형  (0) 2021.05.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