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수업설계의 기본원리

by ⓨⓐⓝⓖ 2023. 3. 23.
반응형

현장 수업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교수-학습 과정별 수업설계 원리와 학습원리

수업설계 원리 학습 원리
수업목표의 명확한 제시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명확히 인지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획득하는 절차를 이해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이 완료되었을 때, 기대되는 겨로가나 모범작품을 관찰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학습동기의 유발 학습과제에 집중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목표와 가치를 인식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수업목표 달성에 자신감을 가지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과정에서 성공적 경험을 계속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학습결손의 발견과 처치 학습자가 해당 과제의 선수학습 요소를 충분히 학습했을 때 목표달성이 용이하다.
선수학습에 대한 자신의 결손을 분명히 알 수 있을 때, 보충학습 효과를 촉진한다.
선수학습 결손부분에 적절한 보완학습 자료나 보충학습 자료를 제공하면 효과적이다.
학습내용의 제시 학습능력 수준에 맞게 학습활동을 개별화하면 학습에 효과적이다.
학습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면 학습은 촉진된다.
수업목표와 유형에 따라서 수업사태를 제공해 주어야 효과적이다.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양식에 맞는 수업매체를 선택하여 주어야 효과적이다.
수업목표의 하위 구성요소를 계열화 순서에 맞게 제시해야 효과적이다.
학생들의 수업이해력에 맞는 설명방식을 선택하여야 학습이 효과적이다.
새로운 개념이나 원리학습은 선행조직자를 활용해야 효과적이다.
연습 학생들에게 연습의 기회를 제공할 때, 안내를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할지 고려해야한다.
연습은 새롭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효과적이다.
연습은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연습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효과적이다.
형성평가와 피드백 학습결과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효과적이다.
학습오류에 대해서는 즉각적이며, 구체적으로 교정해 주어야 효과적이다.
전이 및 일반화 학습한 것을 자신에게 익숙한 생활경험에 적용해 보면 효과적이다.
학습 직후 학습내용을 정리하면 파지 및 전이의 일반화 수준이 높아진다.

 기본원리는 학습과 과정, 즉 명확한 수업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학습결손의 발견과 처치, 학습내용의 제시, 연습, 형성평가와 송환, 전이 및 일반화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다.

 

 Briggs는 수업설계란 교수요구와 목적에 부응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개발하기 위한 체제적 접근이다. 체제적 접근이란 체제의 조화 있는 통합 혹은 전체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기능이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루도록 하여 전체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설계 이론과 수업설계 모형  (0) 2023.03.25
체계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  (0) 2023.03.24
수업설계의 개념  (0) 2023.03.22
ASSURE모형  (0) 2021.07.06
데일, 경험원추설  (0) 2021.07.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