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영어교육론

초등 영어 문법 지도

by ⓨⓐⓝⓖ 2023. 3. 25.
반응형

 영어과 교육과정은 문법이라는 용어 대신 언어 형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형식의 지도를 권장하고 있는데, 이는 문법이 의사소통에 필요하며 문법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의 한 구인 요소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부터 문법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만, 맥락이나 의사소통은 고려하지 않고 낱개의 문법 규칙의 분석 및 연습만이 초점이 되는 과거 문법 지도 방식은 지양된다. 대신, 의미 중심의 활동이나 의사소통 속에서 문법 규칙을 의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실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을 위해 언어의 형태form 및 의미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맥락에 따른 언어 사용 능력을 균형있게 배양해야 한다.

 

명시적 지도explicit instruction와 묵시적 지도implicit instruction

 explicit instructuin은 규칙이 직접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규칙을 한 눈에 알 수 있따. 명시적 지도에는 학습자가 예로부터 규칙을 발견하는 귀납적data-driven,inductive 접근 방식과 규칙을 먼제 배운 후 이 규칙을 적용하는 연역적rule-driven 접근 방식이 있다.

 inplicit instruction은 규칙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주어진 언어적 자료에 암시되어 있다.

 

문법 지도의 변천에 따른 종류와 특징

 Focus on Forms는 모든 문법구조에 초점을 두는 교수법이다. 정확성accuracy에만 초점을 두어 문법 지도를 한다는 관점이다. 의사소통 상황과 문법 지도를 연계하지 않는 탈맥락화된decontextualized 학습이 일어난다. 주로 과거 문법 지도에 사용된 방법이다.

 Focus on Meaning은 의미에 초점을 두는 교수법으로 의미만 중시할 뿐 문법은 지도하지 않는다. 이 입장은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기여한 바는 있지만, 정확성의 결여라는 문제점이 드러나게 되었다.

 Focus on Form은 필요한 문법구조에만 초점을 두는 교수법이다. 문법을 전적으로 배제하고 의미에만 집중하는 수업에서 화석화fossilization 현상이 나타나면서 언어 형식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따. 이러한 이유로 의미에 초점을 두면서도 문법을 학습시키고자 하는 형태 초점 접근법이 나오게 되었다. 형태 초점 접근법은 전통 문법 수업처럼 맥락에 대한 이해 없이 문법 규칙만을 암기하고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전체의 초점은 의사소통이나 과업 수행에 두면서 그 과정에서 필요한 문법을 지도하는 방법이다. 즉, 의사소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이 필요한 문법을 의식하게 하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영어 평가의 종류  (0) 2023.03.26
TE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0) 2023.03.25
초등 영어 발음 지도  (0) 2023.03.25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0) 2023.03.25
초등학생 영어 말하기 오류 지도  (0) 2023.03.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