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브루너는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기초로 학습자의 인지 발달은 사물이나 현상의 구조를 파악하는 방식에 질적인 차이를 나타낸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차이를 지식의 표현 양식으로 개념화하였다. 표현 양식은 인지 발달 순서에 따라 활동적 표현, 영상적 표현 상징적 표현으로 나뉜다. 학습은 학습자의 지적 발달 과정에 알맞은 표현 양식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 활동적 표현: 결과에 도달하는 과정을 행동으로 보이는 방식
- 영상적 표현: 개념을 정의하지 않고 영상이나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식
- 상징적 표현: 지식을 언어나 형식적, 논리적, 수학적 명제로 진술하거나 정의하는 방식
지식의 구조화는 기본 개념들을 상호 관련시키는 것이다. 과학적 탐구 과정을 통해 지식의 구조화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질량, 부피라는 기본 개념들로 밀도=질량/부피라는 관계를 형성시켰다면 이것이 바로 지식의 구조이다. 지식의 구조는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표현 양식으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질량/부피는 초등학교에서는 뜨거나 가라앉는 물체의 경험으로, 중학교에서는 질량과 부피의 측정으로, 고등학교에서는 밀도의 계산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서열과 나선형 교육과정을 연결해 보면 처음에는 활동적 표현, 다음에는 영상적 표현, 그 다음에는 상징적 표현으로 표현 양식을 달리하여 학습 내용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표현 양식의 서열화 개념에 기초하여 브루너는 적절한 표현 양식을 사용한다면 어떤 지식 내용이라도 학습자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나선형 교육과정을 강조하였다.
반응형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알아보기 (0) | 2023.03.27 |
---|---|
구성주의 학습 이론 알아보기 (0) | 2023.03.27 |
오슈벨의 유의미 수용 학습 알아보기 (0) | 2023.03.26 |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을 알아보자 (0) | 2023.03.26 |
행동주의: 가네의 위계학습이론 알아보기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