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은 학생의 학습을 진단하고 수정하여 학습 개선을 돕는 차원을 넘어 고차적 사고 능력을 촉진하여 학생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전략을 습득하게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대답이나 질문에 구체적으로 피드백을 해 주어야 하며, 교사가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학생의 사고 능력이나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 어렵다.
긍정적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학습이나 수행이 적절한지 정보를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긍정적 문장을 학생의 학습 결과물에 기록하는 방식이 긍정적 피드백에 속한다. 부정적 피드백은 학생들의 수행이 부적절하거나 부정확한 경우 이를 학생들에게 알리고자 사용된다. 부정적 피드백은 대개 짧게 말해 줄 때 효과적이며, 자주 사용하지 않을 때 효과적이다.
즉각 피드백은 즉각적으로 맞고 틀림을 확인하여 주거나 관련된 설명을 부여하는 피드백을 말하며, 지연 피드백은 학생의 응답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고 학생들의 사고를 진전시키는 피드백을 말한다. 지연 피드백은 재질문 피드백과 추가 질문 피드백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재질문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제시한 질문을 다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의견을 말하도록 하는 피드백이고, 추가 질문 피드백은 다른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의 사고를 이끌어 가는 피드배기다. 학생의 행동을 교정하려면 즉각적이고 구체적으로 피드백해야 한다. 그러나 과학 교육에서는 즉각 피드백보다 지연 피드백을 권장한다. 교사가 질문을 하고 지연 피드백을 하는 경우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직접 피드백은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수정, 개선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촉진적 피드백은 학생들의 개념하와 수정을 제안하고 의견을 제시해 주면서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교정적 피드백은 학생들의 학습에서 특정한 문제를 고쳐 줄 의도로 사용되는 피드백과 보충 설명 또는 시범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과 오답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오답을 수정하려고 보충적인 교수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교정적 피드백은 확장된 형태의 피드백이라고 말한다.
교사는 피드백을 구성하기 전에 학습 과제를 분석해야 하고, 과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학습 목표, 학습자의 반응 유형, 선행 지식의 종류, 요구되는 학습의 인지 수준 등을 분석하여 두면 과제에 대한 각 학생의 반응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학습에 어려움을 불러일으킨 원인을 찾아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답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피드백보다는 새롭고 더 나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답을 제외하고, 고차원적 사고를 유도하는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각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해줄 수 있는 피드백을 다양하게 제공해야 하며, 피드백이 학생의 과제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되는지 교사 스스로 평가하고 확인해야한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글쓰기의 유형과 과정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
과학 글쓰기의 의미와 필요성 알아보기 (0) | 2023.03.28 |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질문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0) | 2023.03.28 |
과학교육에서의 토론과 토의 학습 알아보기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