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질문을 알아보자

by ⓨⓐⓝⓖ 2023. 3. 28.
반응형

 질문은 교사들이 가장 흔히 사용하는 교수 전략으로서, 과학 교수학습의 필수수단이다. 교사는 질문으로 학생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평가하거나, 학생의 사고를 자극하거나, 기존의 생각을 더 정교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수 목적과 상황에 맞는 질문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피드백은 교육 목표와 비교해 학습자의 학습 활동에 양적인 정보나 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교육 목표에 보다 잘 도달하도록 돕는 활동이다.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교사는 질문 기술과 더불어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는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과학과 교수학습에서 사용되는 질문의 유형과 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폐쇄적 질문은 정답이 한두 개로 제한되어 있고, 사실을 회상하느 평가에서 주로 사용되며, 인지기억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에는 몇 종류의 극이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S와 N이라는 두 종류의 극이 있다라는 하나의 정답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폐쇄적 질문에 해당하며 단순히 학습한 내용을 재생 또는 상기하도록 요구하는 질문이기 때문에 인지적 기억적 질문에 속한다. 수렴적 질문은 주어진 자료나 학습한 내용을 종합, 분석하도록 요구하는 질문이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는 자료를 제시하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물이 끊는 온도는 어떠한가와 같이 묻는다면 이는 수렴적 질문에 속한다.

 개방적 질문은 석유가 고갈된다면 우리의 생활은 어떻게 변할까와 같이 정답이 없거나, 답이 여러 개가 될 수 있는 질문을 말한다. 개방적 질문은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이 있어야 하는 확산적 질문과 가치 판단, 평가 등을 하도록 유도하는 평가적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과학 연구에서 동물을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와 같이 가치를 판단하거나, 실험의 방법과 절차를 평가하고 의견을 말하도록 요구하는 것도 평가적 질문에 포함된다.

 질문의 정의나 유형보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질문이 학습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이다. 폐쇄적 질문은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기 때문에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개발하거나 자극하기 위한 수업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개발하느 수업에는 개방적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학생이 교육 목표에 해당하는 특정 소재나 현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 배웠던 것을 회상하고 기억해야 할 때에는 폐쇄적 질문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교사는 어느 한쪽에 치우칠 것이 아니라 개방적 질문과 폐쇄적 질문을 그 기능에 맞게 선택하여 균형 있게 사용해야 한다.

 

 블룸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는 교육 목표를 분류하는 방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여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다양한 인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각 수준에 맞는 질문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각종 평가에서 문항의 나이도를 설정할 때 블룸의 분류 체계를 이용하기도 한다. 앤더슨 등은 블룸의 틀을 수정하여 지식 영역을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 인지 지시으로 구분하고, 인지 과정도 기억하기, 이해하기, 적용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창출하기의 하위 단계로 구분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