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과학 글쓰기의 유형과 과정을 알아보자

by ⓨⓐⓝⓖ 2023. 3. 28.
반응형

 과학 글쓰기는 과학을 하는 다양한 방식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과학적 이해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이 과학을 풍부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의 다양한 형태를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과학적 맥락에서 글쓰기 중에서 보고서 쓰기는 과학과 관련된 소재를 분류하거나 분석하여 글을 쓰는 것과 그 기능이나 과정을 기술하고 특성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글을 쓰는 것을 포함하는 글쓰기이다. 설명하는 글은 우리는 어떻게 바늘구멍 사진기로 물체를 볼 수 있는가,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얻는가와 같은 질문에 답을 하듯이 과학 현상을 설명하는 글을 말한다. 실험 보고서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가장 익숙한 과학 글쓰기 갈래로서, 일반적으로 실험 목적-실험 방법-실험 결과-결론의 구조로 되어 있다. 논증적 글쓰기는 과학 관련 주에에 대하여 주장과 근거를 들어 쓰는 글쓰기이다.

 

 일반적인 글쓰기 과정은 쓰기 전 활동, 쓰기 활동, 쓰기 후 활동으로 이루어지는데, 과학 글쓰기도 이런 단계를 거친다. 쓰기 전 활동은 글을 시작하기 전에 문서에 담길 글의 주제와 서술 방식 또는 중심 주장과 연구 방법을 구상하는 것이며, 쓰기 활동은 구상된 내용으로 실제 글을 작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쓰기 후 활동은 완성된 초고를 보면서 문서의 내용과 문장을 교정하는 것이다. 특히 과학적 맥락에서의 글쓰기를 할 때에는 과학적 대상에 관한 글쓰기에서 해야 하는 세부 활동과 더불어 주장과 근거를 설정하고 확인, 검토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많은 학생들이 쓰기 전 활동을 소홀히 하고 무작정 글을 쓰기 시작하기 때문에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글을 쓰기 전에 글의 주제, 목적, 유형, 독자를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과학 지식을 정리한 뒤에 글을 쓰도록 지도해야 한다.

 쓰기 후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글의 목적, 유형, 독자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글을 쓴 사람의 목적과 의도가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평가 정보를 구체적으로 주어 유의미한 피드백이 되도록 해야 한다.

 학생의 학습 능력이나 수준을 평가할 때 과학 글쓰기를 활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이것은 과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키워 주고,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과학 글쓰기의 긍정적 측면을 퇴색시키고, 학생들에게 과학 글쓰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 줄 수 있다.

 

  과학 글쓰기를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 과학과 관련된 주제만 주고 글을 써 보라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학생들에게 쓰기 과제를 부과할 때에느 글의 유형에 맞는 틀을 함께 제시하고, 틀을 이용하여 교사가 학생과 함께 토의하면서 내용을 채워 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 틀은 과학 글쓰기의 갈래에 따른 글의 구조를 계획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틀은 과학 글쓰기를 할 수 있게 해 주는 선행 조직자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학생은 교사와 함께 틀을 채워 가면서 과학 글쓰기 작성법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