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 글쓰기는 자연 현상이나 과학적 사실, 개념, 원리, 법칙 등과 관련된 내용과 사고 과정을 글로 표현하는 활동으로서, 과학적 대상에 관한 글쓰기와 과학적 맥락에서의 글쓰기로 나눌 수 있다. 과학적 대상에 관한 글쓰기는 여러 글쓰기 양식으로 과학을 하나의 대상으로, 또는 하나의 주제로 취급하여 다양하게 글을 쓰는 것이다. 따라서 시, 소설, 편지글, 극본과 같은 갈래에서 글의 구조와 형식을 차용하여 쓴다. 예를 들어 물의 순환 과정을 동시로 쓰거나, 화석의 생성 과정을 소설로 재구성하는 것이 이에 속한다. 과학적 대상에 관한 글쓰기가 주제를 표현하는 글쓰기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면, 과학적 맥락에서의 글쓰기는 글의 주제가 과학적어야 하고, 글의 표현 방식 또한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과학적 맥락에서의 글쓰기는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실험 보고서나 논문과 같이, 분류, 분석, 비교 연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기술하는 것이 이에 속한다. 보통의 과학 글쓰기는 과학적 맥락에서의 글쓰기를 지향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과학에 대한 흥미나 관심 등을 고려했을 때,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과학 글쓰기는 과하게 친숙해질 수 있도록 상상이나 허구를 활용한 이야기식 글쓰기처럼 과학적 대상에 관한 글쓰기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
과학 교육에서 글쓰기가 필요한 까닭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 과학 글쓰기는 정보를 조직하면서 필요한 추론 기술을 사용하게 하고, 과학 현상을 기술하며, 논증을 만들게 한다.
- 과학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키워 주고, 성취 수준 격차를 좁혀 주며,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 증가와 과학저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 교사는 과학 글쓰기로 학생의 대안 개념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을 설계할 수 있다.
- 과학 글쓰기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명료화,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반응형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AM 융합인재교육의 도입 배경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
과학 글쓰기의 유형과 과정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피드백 형태를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질문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