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였으며, 이는 지식 습득보다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창조력을 가진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이 교육 목표임을 보여 주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변화가 이루어지려면 교육 평가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변화하려면 핵심역량의 함양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이나 기능의 정도를 측정하는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식인 지필 평가 방법 만으로는 핵심역량 함양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핵심 역량의 함양을 중시하는 새루운 교육 체계에서는 학습자의 이해 수준을 진단하고 인지 구조의 변화를 촉진하여 평가 자체로 유의미한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평가 방식이 필요하다. 즉,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교사와 학생들이 수업 중에 산출된 학습의 증거를 활용하여 교실 수업을 조절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역량을 수시로 평가하는 과정 중심 평가는 교사의 교수 학습 방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고, 각각의 학생들이 가진 강약점을 파악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육 처방이 가능하며, 학생의 창의성, 문제 해결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과정 중심 평가는 결과 중심 평가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교육과정-교수학습-교육 평가의 연계를 도모한 것이다.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이 알아 가는 과정을 평가의 대상으로 포함하는 동시에 평가 결과의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 평가 자체를 학습의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평가의 활용 범위를 확장한다는 것은 학생들을 평가한 후 점수를 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가 결과를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는 데 활용한다느 것을 의미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평가를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학습을 위한 평가 또는 학습으로서의 평가로 보는 것이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실 가열 기구 사용시 안전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0 |
---|---|
실험 안전 지도와 안전 수칙 알아보기 (0) | 2023.03.28 |
과학 학습 평가 방법 알아보기 (0) | 2023.03.28 |
과학 학습 평가의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8 |
과학 학습의 평가의 목적과 절차 알아보기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