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르켐은 인간에게 개인적 존재와 사회적 존재의 두 측면이 있으며, 개인적 존재인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만드는 것을 교육의 본질로 보았다. 그는 개인적 존재를 사회적 존재가 되게 하는 과정을 사회화라 지칭하였는데, 그에게 교육은 사회화였다. 그의 도덕 교육론은 이러한 사회학적 교육 사상의 연장선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뒤르켐은 도덕적 인격의 시작으 도덕 사회화로 파악하면서 인간의 도덕성 발달이 규율 정신, 사회 집단에 대한 애착, 자율성으로 발전해간다고 보았다. 도덕적 인격은 궁극적으로 자율성을 획득할 때 완성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그 이전에 규율 정신과 사회 집단에 대한 애착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규율 정신은 도덕적 습관과 연결되며 사회 집단에의 애착은 도덕적 정서와 의지, 그리고 자율성은 도덕적 이성과 관련된다. 먼저, 규율 정신은 도덕적 습관의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규율 정신은 규칙성과 권위에의 존중심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내용으로 하여 성립되는데, 이때 전자는 도덕규범을 일관되게 준수하는 성향을 말하며 후자는 도덕 규범이 명하는 바를 존중하고 의무로 받아들여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 집단에의 애착은 도덕적 정서와 의지의 교육이 필요함을 뜻한다. 사회 집단에의 애착은 일차적으로 인간이 같은 인간에게 느끼는 애착의 감정을 기반으로 하며 선에 대한 사랑과 그 실천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기반으로 하여 타인을 향한 애타적 감정과 동정심, 공감, 공동체 정신이 나타나게 된다. 자율성은 도덕적 이성의 계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자율정은 의지의 자율을 뜻하는데 이것이 가능하려면 도덕 행위의 의미와 이유에 대한 합리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규율 정신이 의무의 도덕을, 사회 집단에의 애착이 선의 도덕을 표상한다면, 자율성은 합리적 도덕을 표상하는 것이며 이는 결국 도덕적 이성의 계발, 지성의 연마와 관련되는 것이라 하겠다.
뒤르켐은 인간의 도덕성과 그 발달을 이렇게 규율 정신과 사회 집단에의 애착 그리고 자율성의 세 가지로 설명하면서, 이러한 도덕성을 기르기 위한 도덕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에 가장 적합한 기관과 교육의 원리, 접근 방법론 등에 대해서도 제시한 바 있다. 특히, 그는 도덕 교육이 가장 잘 시행될 수 있는 기관으로서 학교, 그중에서도 초등학교를 제일 적합하고도 우선적인 곳, 가장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기관으로 보았다.
아동의 도덕 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지만, 사적 유대와 혈연 및 온정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가정에서는 정치 사회의 공적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도덕적 품성을 길러 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가정에 비해 공적 요소를 더 지니고 있으면서도 본격적인 시민 사회 그 자체는 아니면서도 공적 시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질과 사회생활 양식의 습득을 도모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으로서, 그리고 가정과 사회를 연계하는 하나의 훌륭한 가교로서 학교를 중시하였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무 윤리 교육과 덕 윤리 교육의 상보적 추구: 프랑케나 알아보기 (0) | 2023.03.29 |
---|---|
민주적 인격인으로서 도덕적 성장: 듀이 알아보기 (0) | 2023.03.29 |
자율적 도덕인의 육성: 칸트 알아보기 (0) | 2023.03.29 |
유덕한 인격인의 육성: 아리스토텔레스 알아보기 (0) | 2023.03.29 |
선에 대한 참 지식으로서의 덕성 계발: 소크라테스, 플라톤 알아보기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