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의 관점에서 볼 때 민주주의는 정부 조직이나 법적 및 제도적 장치 이상의 것으로서 하나의 바람직한 생활 양식이다. 그것은 바람직한 공동생활의 양식과 경험을 전달하고 공유하는 방식이요, 인간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도덕적 생활 양식이다. 이와 같은 민주주의적 생활 양식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으로 가장 잘 이룩할 수 있다. 민주주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게 하렴녀 기존의 가치나 규법을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하거나 강요하기보다는 그들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면서 그들이 직접 민주주의적 삶을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듀이의 관점은 도덕 교육에도 반영되었다. 즉, 듀이는 도덕 교육이 단순히 도덕적 가치 규범을 잘 따르도록 하는 것을 넘어서서 도덕적 가치 규범을 올바로 판단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도덕 교육은 도덕적 문제 해결과 합리적 의사 결정에 필요한 기능 및 민주적 절차를 습득하는 것이어야 하며, 사회적 규칙의 준수와 그런 규칙을 새로 만들고 개선할 수 있는 지적 관점과 능력을 기르는 것 등을 두루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듀이는 인격을 세 측면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첫째는 행동적 측면으로서 어떤 실천의 힘, 실행의 효율성 또는 명백한 행동을 지니는 것이다. 둘째는 지적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올바른 판단력을 지니는 것이다. 끝으로 정의적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어떤 정서적 반응력, 도덕적 열정을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듀이의 관점에서 볼 때 인격은 행동, 인지, 정의의 세 측면의 통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의 도덕성이나 인격이 본능적 또는 습관적 도덕의 단계, 사회적 관습의 도덕 단계, 자율적 도덕의 단계의 세 단계를 거쳐 발달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학교 도덕 교육으로 형성해야 할 건전한 도덕성 내지 바람직한 인격을 이렇게 해명한 후, 듀이는 그의 유명한 저서 교육에 있어서의 도덕 원리에서 학교 교육에서 중시해야 할 중요한 도덕적 원리를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사회적 측면과 심리학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그것이다. 먼저 사회적 측면에서는 학생을 지적, 사회적, 도덕적, 신체적으로 유기적 전체를 이루는 존재로 보면서도, 동시에 그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사회적 가치와 사회 관계를 깨닫고 사회적 정신을 지님으로써 바람직한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라나도록 해야 함을 지적했다.
심리학적 측면과 관련해 하나의 체제로서의 학교는 도덕적 실천과 행동, 습관을 기르기 위해 그에 적절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곳이 될 것, 학생들이 양질의 판단력을 기르는 데 필요한 조건을 제공할 것, 그리고 학생들이 정서적 감수성과 반응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듀이는 이러한 모든도덕 교육적 활동에서 교사의 역할이야말로 실로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보았다. 그는 교사는 그 사회의 바람직한 가치의 전달하는 역할과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고 돕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적 도덕성과 건전한 인격 형성의 도덕 교육: 피터스 알아보기 (0) | 2023.03.29 |
---|---|
의무 윤리 교육과 덕 윤리 교육의 상보적 추구: 프랑케나 알아보기 (0) | 2023.03.29 |
도덕 사회화로서의 도덕 교육: 뒤르켐 알아보기 (0) | 2023.03.29 |
자율적 도덕인의 육성: 칸트 알아보기 (0) | 2023.03.29 |
유덕한 인격인의 육성: 아리스토텔레스 알아보기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