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7차 교육과정 이후: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적 도덕과 교육

by ⓨⓐⓝⓖ 2023. 4. 2.
반응형

 제3차까지의 도덕과 교육은 행동 중심의 도덕과 교육으로서 인지적 측면의 도덕성이 배제되엇다면, 제4~6차까지의 도덕과 교육은 인지 중심의 도덕과 교육으로서 행동적 측면의 도덕성을 소홀히 하였기에, 학생들의 조화로운 도덕성 함양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건전한 도덕성 함양을 위해 편향된 도덕과 교육이 아닌 조화로운 도덕성 발달 교육이 요청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7차 이후의 도덕과 교육 과정은 이 둘의 조화로운 모색, 즉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견지한다.

 

 제7차 이후의 도덕과 교육 과정은 바람직한 인격의 기초를 함양하기 위해서 종래의 인지적 접근을 포괄하면서 정의적이고 행동적인 영역을 함양하는 통합적인 인격 교육적 접근 내지 덕 교육적 접근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종래의 초등 도덕 교육이 행동을 출발점으로 삼았음에도 불구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폐단을 지양하려고 한 것이다. 따라서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정의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인지적 영역 못지않게 강조하기 위하여 인지적 접근을 한 후에 그것을 자율적으로 정의적 측면에서 수용되고, 나아가 자율적으로 행동적 측면에서 실천될 수 있는 방향으로 도덕과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강조하는 정의적, 행동적 영역이 인지적 영역을 무시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보다는 종래에 경시되는 경향이 있었던 정의적이고 행동적인 측면을 인지적 측면과 대등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강조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세 가지 영역이 균형을 이루고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통합된 도덕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