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가 주장하는 관찰 학습의 네 가지 과정은 다음에 제시되는 주의 과정, 파지 과정, 운동 재생 과정, 동기화 과정으로 구성된다.
먼저 주의 과정이다. 관찰을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다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관찰하는 아동은 자기 또래나 힘이 세고 매력적인 대상을 모방하기를 좋아한다. 부모나 형제, 자매, 친구, 교사뿐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연예인도 아이들의 중요한 모델이 되고 있다. 아이들은 모델을 모방하기 위해서 먼저 모델의 행동을 눈여겨본다.
다음은 파지 과정이다. 만약 사람들이 모범이 되는 행동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는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관찰 학습에서 두 번째 중요한 단계는 모범이 되는 활동의 파지에 관심을 두는 단계이다. 관찰자가 본보기 활동으로부터 유익함을 얻기 위해서는 방응 형태가 상징적 형태로 기억 속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관찰자는 모델을 관찰한 장면을 자기 방식으로 기억하려고 노력한다. 다시 말해, 관찰한 내용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언어적으로 또는 범주화 과정을 활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겪는다.
다음은 운동 재생 과정이다. 관찰 학습의 세 번째 단계는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는 것이다. 주의 집중을 아무리 잘해도, 파지의 단계에서 아무리 잘 기억하여도, 실제로 모델의 행동을 모방하려면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모델의 행동을 정확하게 재생하는데 필요한 운동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많은 연습이 강조된다. 또한 관찰자는 연습 시 스스로 표상화된 행동을 떠올리며 교정하기도 한다.
마지막은 동기화 과정이다. 관찰자가 주의하고, 파지하고, 파지한 것을 행동하여 모델과 비슷하게 수행하였다 하여도, 직접 행동하려는 동기 없이는 실제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는다. 즉 관찰자가 행동하고 싶은 것에 대한 결과가 긍정적인 결과로 인식된다면 그것을 행위로 실천할 수 있다. 행동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뒤, 그것을 수행을 할지 안 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은 학습자에게 달려 있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7차 교육과정 이후: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적 도덕과 교육 (0) | 2023.04.02 |
4~6차 교육과정: 인지 중심의 도덕과 교육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