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콜버그는 도덕적 행위의 동기와 인간 생명의 가치 등 도덕성의 문제를 담고 있는 도덕적 딜레마를 들려주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개인의 도덕성은 6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보고 3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서, 딜레마에 대한 응답은 단순하게 예 혹은 아니오라는 응답에 관심을 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도덕적 논리에 관심을 두었다. 콜버그는 토론을 통해서 토론 참가자들이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게 되면 도덕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학생들은 하나의 도덕 문제에 관해 자신의 단계보다 더 높은 단계의 사고를 접하게 되면 자신의 본래의 입장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를 검토해 본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그 학생은 자신의 도덕적 추론을 재구성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콜버그의 토론 수업 모형에서 교사들이 해야 할 일은 학생들이 보다 복잡한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덕적 숙고가 가장 잘 일어나는 경우는 학생들이 자신의 단계보다 한 단계 위의 사고에 접했을 때라고 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것보다 더 일관되게 복잡한 사고에 접했을 때 인지적 불균형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적 불균형을 자주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은 보다 높은 단계로의 발달을 자극받게 된다.
반응형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버그 이론의 특성과 비판 알아보기 (0) | 2023.04.02 |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별 특징 알아보기 (0) | 2023.04.02 |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반두라의 관찰 학습의 과정 알아보기 (0) | 2023.04.02 |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