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미술교육론13

초등학교 5, 6학년의 미술 표현 특성 미술 발달 단계에서 5, 6학년은 신체 기능의 발달과 인지의 발달,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 능력이 높아지면서 동시에 많은 미술 교육적 노력을 요하는 과도기이다. 로웬펠드에 따르면, 객관적 사실적인 표현이 주가 되는 시각형과 주관적 감정적인 표현을 주도하는 촉각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그 때문에 교사는 이러한 유형적 특성을 살려서 표현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이전의 평면적이고 도식적인 표현이 현저하게 사라지고 대상을 관찰하여 기교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욕구가 강해진다. 그러나 눈으로 보는 것에 비해 사실적 표현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미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기 쉽고 이에 표현 의욕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의 특성 및 조형 표현 .. 2023. 4. 3.
최근 미술 교육의 동향 창의성 중심 미술 교육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해 창의성이 발달할 수 있으므로 창의성 중심의 미술 교육은 사실적인 묘사력 향상을 위한 소묘 수업보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표현 방법으로 그리도록 하는 미술 활동을 중요하게 여긴다. 듀이의 아동 중심의 교육과 심리학의 발달, 표현주의의 등장은 학생의 미술 표현에 대한 예술적, 학문적 관심을 증폭시켰다. 학생 미술은 미숙한 작품이 아닌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었고, 미술 활동은 학생에게 경험의 산물로서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창조적인 활동으로 주목 받았다. 이러한 학생 미술 활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미술 교육에서 학생 중심의 자유로운 표현 활동을 활성화했고 창의성 중심의 미술 교육은 우리나라 미술 교육이 사실적인 묘사력과 기능 중심의 교육에서 아.. 2023. 4. 3.
미술과 평가 방법 및 평가 도구 미술과 평가 방법은 시기와 교수 학습 활동의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 차시별 수업에 대한 평가와 학생의 지속적인 변화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 활동에 따라 평가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법들은 관찰법, 발표 및 토의법, 연구보고서법, 실기 평가,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보고서법, 포트폴리오법, 감상문 등이다. 관찰법은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의 행동과 반응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평가 방법이다. 교수 학습 활동의 내용과 과정에 따라 관찰의 기준을 정하고 채점 기준표를 작성하며 배점 및 평가 시기 등을 결정한다. 관찰법은 미술 표현 활동 과정과 미술 작품 감상에 대한 총체적 평가를 위해 활용된다. 매 시간 모든 학생을 관찰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 2023. 4. 3.
미술과 교수 학습 모형 귀납적 사고법은 객관적인 사실이나 원리가 있다는 전제하에 이를 추론하는 과정에서 미적 인식 능력과 비평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 지식이나 개념 전달보다 사고력 향상에 목적이 있다. 주로 미적 체험과 감상 영역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귀납적 사고법은 문제 인식, 관계 탐색, 개념 발견, 개념 적용, 정리 및 발전 단계로 이루어진다. 문제 인식은 제시된 학습자료를 바탕으로 학습 문제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시되는 학습 자료는 학생의 기존 사고 체계를 흔들어 사고를 촉진하고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관계 탐색은 학습 문제와 관련해 제시된 자료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단계이다. 학생에게는 가능한 한 다양한 관찰과 탐색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학습 주제를 다른 학생들과 대화를 하.. 2023.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