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학88 갑작스런 실신, 원인과 증상 갑자기 실신을 했다면 실신의 원인은 다음들과 같다. 혈관미주신경성 실신(단순 실신) 실신은 뇌로 공급되는 혈액이 갑자기 줄어 생기는 결과다. 대개 급겨가고 빠르게 혈압이 떨어지는데, 여러가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기억할 것은 몇 가지 복잡한 기전이 함께 작용하여 안정된 혈압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어떤 기전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다른 기전은 하락시킨다. 단순 실신에서는 혈압을 하강시키는 기전이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발작은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라 하는데, 대개 덥고 환기가 잘 안되는 탁한 환경에서 빈속에 술을 마시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통증, 외상 혹은 공포 역시 같은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간혹 환자가 앉아 있었다면 피가 아래로 쏠려서 의식을 잃을 수 있다. 경동맥동 압박 목에는 경동맥.. 2021. 7. 2. 발작, 원인과 원인별 증상 대뇌 발작은 옆에서 보기에도 매우 두렵다. 전형적인 발작의 경우 팔이나 다리는 어떻게 할 수 없을 만큼 갑자기 꺾이고, 목은 뻣뻣해지고 눈은 뒤로 돌아가며, 입에서는 거품이 일어난다. 이 모든 과정에서 희생자는 의식을 잃거나 혹은 정신이 멀쩡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발작이 항상 그렇게 극적이지는 않다. 또 발작은 꽤 미묘해 단지 정신과 신체가 짧은 시간 분리되어 잠시 백일몽을 꾸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시각, 청각 또는 후각적으로 이상한 환각이 나타나거나 몇 분간 지속되는 몇 가지 부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 비정상적 대뇌 기능(외상, 뇌졸중, 고열, 심장발작) 모든 발작은 격렬하든 가볍든 갑작스럽고도 비정상적인 대뇌 기능이 원인이다. 그러한 기능부전을 일으키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다. 예컨대 두부에 .. 2021. 7. 2. 월경을 안할 때, 무월경의 원인 질 출혈이라는 범주의 반대쪽 끝에는 월경이 매우 적게 나오거나 전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소녀들이 월경을 시작하는 나이가 약 12~14세이다. 월경이 늦어진다면 몇가지 가능한 이유가 있다. 처녀막 폐쇄 처녀막이 조금도 열려 있지 않아 피가 자궁에서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선천성 기형 월경혈의 배출구를 막는 다른 선천적인 기형들도 있다. 예를 들어 자궁경부의 심한 협착, 중복 자궁 혹은 자궁의 결여 등이다. 또 호르몬에 생긴 어떤 문제도 정상적인 월경을 돕는 다양한 내분비선의 분비와 이들의 상호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급격한 체중 감소 심한 영양장애로 급격히 체중이 줄면 체지방이 감소하고 호르몬 수치가 불균형해져 월경이 중단된다. 불가피한 경우든, 고의든, 혹은 정신장애든 결국 결과는 같다. 선종양.. 2021. 7. 1. 대변의 색이 이상할 때, 체내 출혈을 의심하자! 위장관은 하나의 긴 관으로 식도에서 항문까지 구불거리면서 내려간다. 어떤 부분에서는 좁아지지만 다른 곳에선 넓어진다. 대변 속의 피는 이 과정을 따라 어느 곳에서든 생길 수 있다. 색깔을 통해 출혈이 위쪽에서 일어나쓴지 혹은 아래쪽에서 일어났는지 알 수 있다. 검은색(식도와 위장 혹은 십이지장 출혈) 검은 대변은 대개 장관의 위쪽 부분인 식도와 위장 혹은 십이지장에서의 출혈을 뜻한다. 위장관의 처음에서 끝까지 내려가는 동안 피는 검은색으로 바뀐다. 그러나 설사를 하고 장관의 운동이 매우 활발하여 그 내용물이 빨리 내려간다면 피는 그대로 붉은색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것은 출혈 후에 검은색으로 변할 만큼 충분히 장에 머물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변이 검게 변했다면 최소한 찻숟가락으로 두 숟가락 정도의 혈액은 .. 2021. 7.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