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피아제는 개인의 도덕성 발달은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개념화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단계
- 1단계(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의 아동은 이유를 찾거나 판단함 없이 규칙에 의해 무조건 복종을 하고, 부모나 그 밖의 권위가 있는 성인을 전지전능한 사람으로 생각하고 여기며 그 성인들이 정해 놓은 규칙을 그대로 따른다.
- 2단계(협동적 도덕성의 단계) : 협동적 도덕성의 아동은 행동의 이면에 있는 행위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행동의 선악을 판단하고, 도덕적 위반이 발생하였을 때 그 상황을 구체적인 방면으로 고려한다. 2단계는 인지발달에 있어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와 일치한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는 인지적 부분을 연구하여 6단계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제시했다. 도덕적 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어떻게 답을 하는가에 따라 3 수준 6단계로 도덕성 발달단계를 말하였다. 교사는 토론 수업을 통해 도덕성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콜버그의 3수준 6단계
- 수준 1 : 인습 이전의 도덕성 수준이다. 행위의 결과가 가져다주는 보상이나 처벌에 의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규칙을 정하는 사람들의 물리적인 권위에 따라 판단한다.
- 단계 1 : 처벌과 복종 단계로 다른 사람의 욕구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에게 좋은 것에 근거해 결정한다. 강자에 의한 규칙에만 복종한다.
- 단계 2 : 도구적 상대주의(욕구 충족 수단)의 단계로 자신과 타인의 욕구를 도구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 옳은 행위라 생각하고 옳고 그름은 자신의 욕구에 따라 인식한다.
- 수준 2 : 인습 도덕성 수준이다. 기인적 기대나 사회적 질서에 동조하는 것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려 하고 지지하며, 집단이나 구성원들에게 동일시하고 충성한다.
- 단계 3 : 착한 소년/소녀(대인관계 유지)의 단계로 나눔, 충성, 신뢰, 우정, 사랑을 통해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순수함과 죄의식을 결정함에 있어 자신 외의 타인의 의도를 고려한다.
- 단계 4 : 법과 질서의 단계로 권위나 고정된 규칙, 사회적 질서를 지향하며 법과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올바른 도덕성이라 생각한다.
- 수준 3 : 인습 이후의 도덕성 수준으로 집단의 권위나 권리를 행사하는 사람들과 무관하게 도덕적 가치와 원리를 규정하려 노력한다.
- 단계 5 : 사회적 계약 단계로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사회 전체가 인정하는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규칙은 융통성이 있게 조정될 수 있으며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냐 아니냐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단계 6 : 보편적 윤리 단계로 구체적인 규칙을 초월하는 인간의 존엄성, 정의, 사랑, 공정성에 근거를 둔 소수의 추상적 보편적 윤리를 신봉 한다. 내적 양심에 일치하며 자신의 윤리적 원리를 위반하는 규칙을 깰 수 있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요인설(스피어만&손다이크&서스톤) (0) | 2021.05.12 |
---|---|
샐맨(Selman)의 사회역할 수용 (0) | 2021.05.12 |
엘킨드의 자기중심성 연구 (0) | 2021.05.12 |
마샤의 정체성이론 (0) | 2021.05.11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 (0) | 2021.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