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엘킨느의 자기 중심성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 자기 중심성은 자기 자신에 대한 몰두에서 비롯되는 특수한 현상이다. 자신과 타인의 관심사를 적절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인지적 경향성을 지닌다. 청소년의 유치하고, 변덕스러우며, 다른 사람들의 눈에 띄고 싶어 하는 욕망을 이해해야 한다. 아이들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교사는 이러한 경향을 일시적인 편류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해해주어야 한다. 협동학습이나 토의학습 등과 같은 소통이 필요한 학습을 통해 타인의 생각을 접할 수 있게 되어 자기중심적인 자아 관념을 해소할 수 있다.
개인적 우화
자신의 우정이나 사랑 등을 타인은 경험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죽음이나 위험, 위기 등은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비합리적이며 허구적인 관념을 개인적 우화라 한다. 불행은 오직 타인에게만 일어나는 일이고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 또한 청소년들은 성관계를 가져도 임신이 되지 않고, 난폭운전을 해도 교통사고를 당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상상적 청중(가상 청중)
소년의 과장된 자의식으로 인해 자신이 타인의 집중적인 관심과 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마치 자신이 가상의 청중들 앞에 서 있다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신이 주인공이며 타인들은 모두 구경하는 청중으로 생각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샐맨(Selman)의 사회역할 수용 (0) | 2021.05.12 |
---|---|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05.12 |
마샤의 정체성이론 (0) | 2021.05.11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 (0) | 2021.05.11 |
에릭슨 사회심리 발달이론 (0) | 2021.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