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샤의 정체성 이론의 의의
에릭슨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관찰은 마샤의 정체성 상태에 대한 견해로 확대되었다. 마샤는 정체성을 혼란 유형, 유실 유형(폐쇄), 유예 유형, 성취 유형이라는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정체성 지위들을 개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는가와 가치들에 전념하였는가에 따라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정체성 유예(Moratorium), 정체성 유실(Foreclosure),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로 구분하였다.
유형
- 혼란 유형 : 자아의 방향정립이 되어있지 않으며 비조직적이고 충동적인 유형이다. 자존감이 낮으며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정체감을 가지게 된다.
- 유실 유형(폐쇄) : 폐쇄적이고 권위적이며 고민하지 않는 유형이다. 부모가 자식의 미래와 직업을 대신 결정해주는 경우이다.
- 유예 유형 : 고민은 많고, 전공을 자주 바꾸며, 긴밀하지만 단기적인 대인관계를 맺는다. 부모의 기대를 일시적으로 거부할 수 있으며, 에릭슨은 혼란에서 성취로 나가는 임시적 위치로 본 반면 마샤는 정체성의 한 유형으로 접근했다.
- 성취 유형 : 이 유형은 결정을 사려 깊게 하고, 자존감이 높으며 긴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한다. 직업이나 이성, 신앙 등의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여 확신을 이룬 상태이다.
정체성 지위
-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 개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가치들에 전념하였을 때 정체성 성취라 한다. 확고한 안정된 자아감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 종교, 성 역할에 관한 신념에 전념한다. 다른 사람들의 관점, 신념 및 가치를 고려하지만, 분리됨으로써 자신의 결단에 도달한다.
- 정체성 유예(Moratorium) : 개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였으나 가치들에는 전념하지 않은 지위이다. 현재 정체성 위기 혹은 전환점을 경험하고 있으며, 사회에 분명하게 전념하지 못하고 있다. 분명한 정체감이 없으며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성취하려 한다.
- 정체성 유실(Foreclosure) : 개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진 않지만 가치에 전념하였을 때의 지위이다. 직업과 다양한 이념적 입장들에 전념한다. 자기 구성 과정의 증거가 별로 없어 진지한 탐색과 의문 없이 다른 사람들의 가치를 채택한다. 자신의 정체성 성취 가능성을 상실한 상태이다.
-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 개인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지 않고 가치들에도 전념하지 않은 상태이다. 방향이 결여되어있으며 정치적, 종교적, 도덕적 또는 심지어 직업적 이슈들에도 무관심하다. 이유를 묻지 않고서 일을 하며 왜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을 하는지에 무관심하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05.12 |
---|---|
엘킨드의 자기중심성 연구 (0) | 2021.05.12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 (0) | 2021.05.11 |
에릭슨 사회심리 발달이론 (0) | 2021.05.11 |
상보적 교수 (0) | 2021.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