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샐맨(Selman)은 구조화된 면접을 사용하여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였다. 사회역할 수용은 자신과 타인을 객체로 이해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뜻한다. 샐맨은 0단계에서 4단계로 사회역할 수용을 설명하였다.
0단계
자기중심적 미분화 조망 단계로 3세에서 6세 사이로 자신의 해석과 타인의 관점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단계이다.
1단계
사회 정보적 조망 단계이며 차별적 또는 주관적 조망수용 단계이다. 6~8세 사이로 타인들이 서로 다른 사회적 조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2단계
상호교호적 조망 수용 단계이며 자기반성적 조망 단계이다. 8~10세 사이로 타인의 개별적인 조망을 수용하여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단계이다.
3단계
상호적 조망 수용 단계이고 제삼자 조망 단계이다. 10~12세 사이이며 자신의 조망, 상대의 조망, 그리고 중립적인 제삼자의 조망을 취할 수 있다.
4단계
사회적 조장 단계이고 심층적 조망 단계이다. 청소년기에서 성인기에 해당하며 모든 삼자적 조망인 사회적 조망에 대한 조정이 형성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텔(R.B. Cattell)의 지능이론 (0) | 2021.05.12 |
---|---|
지능요인설(스피어만&손다이크&서스톤) (0) | 2021.05.12 |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05.12 |
엘킨드의 자기중심성 연구 (0) | 2021.05.12 |
마샤의 정체성이론 (0) | 2021.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