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항이론 의의
갈등주의자들은 학교교육이 자본주의를 재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저항을 통해서 재생산을 멈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교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저항의식을 키워 저항세력으로 만들고, 학교가 저항의 장소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 이론으로 애플의 문화헤게모니론, 프레이리 의식화이론, 지루의 폭로이론, 윌리스 반학교문화론 등이 있다.
지루의 폭로이론
-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을 현실에서 실천하는 이론이다.
- 학교는 교육을 통해 부조리나 억압에 대해 폭로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프레이리의 의식화이론
- 학교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을 의식화시켜야 한다.
- 은행저금식 교육에서 문제제기식 교육으로 전환함으로써 인간주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
윌리스 반학교문화론
- 간파 : 억압 계층의 학습자들이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불평등한 것을 깨닫는 것이다.
- 제약 : 불평등에 대한 알아차림과 그에 대한 행동 표출이 사회개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억압 계층의 일원으로 성장하게 되는 것을 뜻한다.
- 확정 : 지배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화들을 자연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 교란 : 지배계급을 위협하는 문화들에 대해서는 개인주의를 강조하여 방해한다.
일리치 탈학교사회
- 일리치는 기존의 학교제도를 대치할 수 있는 학습을 위한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있다.
- 학습망은 모든 사람이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학습하거나 가르치는 기회를 평등하게 향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 4가지 네트워크에는 교육적 자료, 기능(기술)의 교환, 동료의 연결, 교육자 조회 등이 있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주의 (0) | 2021.06.22 |
---|---|
기능주의 (0) | 2021.06.22 |
콜맨보고서 (0) | 2021.06.20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0) | 2021.06.20 |
브로디, 문화재생산이론 (0) | 2021.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