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선제
- 단선제 : 교육체제가 한 종류로 되어 있다.
- 계층 사이의 교육적 차별을 없애고, 모든 국민들에게 그들의 능력에 따라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 특징 : 단계성이 강조, 수평적 이동이 가능, 만기 선발
- 장점 : 국민들에게 교육의 기회균등을 제공하며, 교육을 통한 계층 상승이동이 가능하다.
- 단점 : 교육에 대한 계획적 통제가 어렵고,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어렵다.
복선제
- 복선제 : 2개 또는 그 이상의 학교체제가 병립되어 있다.
- 계열(계통)사이의 이동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며 이 계열(계통)간의 동급학교, 동학년 사이에 교육과정 상 현저한 차이가 있는 제도이다.
- 특징 : 계열성이 강조, 수평적 이동이 어렵고, 조기 선발
- 장점 : 교육의 계획적 통제가 가능,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기 쉽다.
- 단점 : 교육의 기회균등이 어렵고, 사회계층의 고착화를 초래한다.
분지형
- 기초 학교부분은 단선제이고 상위학교는 복선제의 형태이다.
- 복선제의 한 형태이다.
통일학교 운동
복선제를 단선제로 바꾸려는 운동이다.
엘리트주의 교육관과 평등주의 교육관
구분 | 엘리트주의 교육관 | 평등주의 교육관 |
선발기준의 강조점 | 개인의 능력 | 교육받을 권리 |
능력에 대한 관점 | 선천적·유전적 요인이 결정적 | 환경적 요인이 결정적 |
직업적 분화와 관련된 교육적 선발시기 |
조기선발 분리교육 |
가능한 한 장기간 교육을 통한 선발이 타당 통합교육 |
교육선발 유인체제 | 복선형 | 단선형 |
대표적인 나라 | 영국, 프랑스, 브라질, 이탈리아 | 미국, 스웨덴, 캐나다, 한국 |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 사회학 (0) | 2021.06.30 |
---|---|
자본의 뜻과 종류 (0) | 2021.06.29 |
번스타인, 교육자율성 (0) | 2021.06.25 |
학업성취의 결정 요인 (0) | 2021.06.24 |
신교육사회학 (0)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