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본의 뜻
- 자본은 경제적 부를 창출하는 수단이다.
- 교육에서 자본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이다.
- 자본에는 경제 자본, 인간 자본, 사회 자본, 문화 자본 등이 있다.
인간자본
- 부모의 인간 자본은 교육을 통해서 가지게 된 지식, 기술, 기능을 말한다.
- 부모의 인간 자본은 아동 학습에 여러 행태로 영향을 미친다.
경제자본
- 화폐로 표시되는 형태의 자본이다. (경제자본으로 물질자본을 구입)
- 가정에서는 학용품이나 학교 준비물 등을 구입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문화자본
- 부모와 가정의 문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족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문화적 취향이다.
- 문화자본은 교육과정 지식과 연관을 맺고 있어서 아동의 학습에 영향을 준다.
사회자본
- 원래 사회 자본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자본이다.
- 아동과 부모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정의 사회자본이다.
- 가정에서 사회자본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가정에서 부모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는 정도, 아동에 대한 주의나 보살핌의 강도나 질 등이 있다.
- 부모가 다른 부모와 친분, 학교를 방문하는 정도도 사회자본으로 확대된다.
의의
- 부모가 높은 수준의 경제 자본과 인간 자본 및 문화 자본을 지니고 있어도 사회 자본을 통해서 아동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아동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제한적이다.
- 사회 자본은 가정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반응형
'교육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 사회학 (0) | 2021.06.30 |
---|---|
단선제 & 복선제 (0) | 2021.06.27 |
번스타인, 교육자율성 (0) | 2021.06.25 |
학업성취의 결정 요인 (0) | 2021.06.24 |
신교육사회학 (0)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