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행정

상황이론 & 지도성

by ⓨⓐⓝⓖ 2021. 6. 10.
반응형

상황이론

 상황이론이란 지도자의 능력과 지도성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은 지도자가 처한 상황이 중요하며 상황이 다르다면 지도자의 특성과 지도자의 유형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지도성 유형

지도성 행위

  • 과업 행위 : 지도자는 부하직원들에게 무슨 과업을 언제, 어떻게 수행해야 할 것인가를 설명함으로써 일방적인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진다.
  • 관계성 행위 : 지도자는 사회·정서적인 지원, 즉 심리적 위로를 제공하고 일을 촉진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쌍방의 의사소통에 전념한다.

구성원의 성숙도

  • 직무 성숙도 : 종업원의 개인 직무수행 능력을 말한다.
  • 심리적 성숙도 : 종업원의 개인적 동기 수준을 말한다.

 

변형적 지도성(변화적, 변혁적)

거래적 지도성 특징

  • 상황적 보상 : 노력에 대한 보상계약, 근무성과에 대한 보상약속, 성취인정 등이다.
  • 잘못에 대한 적극적 관리 : 규정과 기준에 벗어나는 것을 찾고 감시하여 그러한 행동을 교정한다.
  • 잘못에 대한 소극적 관리 : 조직이 정한 기준에 도달하지 않을 때만 관리한다.
  • 자유방임 : 책임회피, 결정의 기피가 나타난다.

변형적 지도성의 특징

  • 비전 : 단기적인 목표보다는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장기적인 목표에 구성원을 집중시킨다.
  • 이념화된 영향력 : 구성원들이 조직의 급격한 변화를 수용,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이념화된 영향력을 지닌다.
  • 영감적 동기유발(감화력) : 조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가질 수 있는 영감적인 동기유발을 특징으로 한다.
  • 지적 자극 : 구성원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 사고를 지닐 수 있도록 지적인 자극을 준다.
  • 개별화된 배려 : 개인적인 성장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개별화된 배려를 한다.
  • 카리스마적 영향력, 도덕성 등이 있다.

 

분산적 지도성

  • 지도성은 특정 부서에 국한된 몇 사람만이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지동성을 조직의 질(체계적 특징)로 간주한다.
  • 지도서은 조직을 구성하는 역할들의 네트워크를 따라 흐르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선조직 & 참모조직  (0) 2021.06.10
조직이론  (0) 2021.06.10
지도성 & 과리격자  (0) 2021.06.10
직무설계 & 몰입  (0) 2021.06.10
기대이론 & 공정성 이론  (0) 2021.06.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