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행정

조직이론

by ⓨⓐⓝⓖ 2021. 6. 10.
반응형

조직이론

에치오니의 분류

  • 강제적 조직 : 강제적인 통제수단을 사용하여 구성원들을 명령에 따르도록 함으로써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소외의식을 지니고 있는 조직이다. (교도소, 포로수용소)
  • 공리적 조직 : 보상을 통제의 수단으로 하는 조직이다. (회사, 기업체)
  • 규범적 조직 : 상징적, 도덕적 가치가 주요 수단이 되는 조직으로 위신이나 존경과 같은 규범적 상징과 애정이나 수용과 같은 사회적 상징을 이용하는 조직이다. (학교, 종교단체, 가정)

칼슨의 분류

  • 유형Ⅰ : 야생조직(사립학교, 개인병원, 자율형 사립고 등) 고객의 참여 결정권 ㅇ, 조직의 고객 선택권 ㅇ
  • 유형Ⅱ : 적응조직(주립대학) 고객의 참여 결정권 ㅇ, 조직의 고객 선택권 ×
  • 유형Ⅲ : 강압조직(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는 거의 없음) 고객의 참여 결정권 ×, 조직의 고객 선택권 ㅇ
  • 유형Ⅳ : 온상조직(의무 공립학교, 국립 정신병원, 교도소 등) 고객의 참여 결정권 ×, 조직의 고객 선택권 ×

기타

 캇츠와 칸은 유지기능 조직, 파슨즈는 유형유지조직, 블라우와 스코트는 봉사조직으로 분류한다.

 

조직화된 무질서조직(쓰레기통 모형)

  • 불분명한 목표 : 조직의 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분명하지 않다.
  • 불확실한 기술 : 교육조직의 기술이 불명확하고 구성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유동적 참여 : 교육조직에서의 참여는 유동적이다.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공식적 조직 : 조직체의 공식적인 조직도 또는 문서화된 기구표에 나타나 있는 조직으로 권위를 계층, 명료한 책임분담, 표준화된 업무수행, 비정의적 인간관계 등으로 특징으로 한다.
  • 비공식 조직 : 표면화되지 않은 자연발생적 조직으로 공식적 조직 안에 있는 구성원간의 직접적 면접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연스런 의사소통, 자발적 협력관계, 감정의 논리에 의거한 행동방식을 특색으로 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료제조직  (0) 2021.06.11
계선조직 & 참모조직  (0) 2021.06.10
상황이론 & 지도성  (0) 2021.06.10
지도성 & 과리격자  (0) 2021.06.10
직무설계 & 몰입  (0) 2021.06.10

댓글